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전남 학교비정규직 무기한 농성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남교육청 "교육부-17개 교육청-노조 3자 합의 우선"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전남지역 학교비정규직 종사자들이 차별 철폐와 성실교섭을 요구하며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또 천막농성과 출·퇴근 선전전 7월 총파업도 예고했다.

전남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8일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차별없는 교육 현장을 만들겠다던 대통령과 교육감들의 약속이 아직까지 실현되지 못한 채 시간끌기식 불성실 교섭으로 성과를 기대하기도 어려워 단체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전남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는 학교비정규직노조 전남지부와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남지부, 전국여성노조 광주전남지부가 함께 하고 있다.

이들은 "여전히 학교는 '비정규직 백화점'이라 불릴 만큼 수 많은 비정규직이 교육에 꼭 필요한 노동을 하고 있지만 임금차별은 여전히 심각하고 기본급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정규직과 비교해 근속의 가치가 존중받지 못하고 명절 휴가비와 맞춤형 복지비, 상여금 등의 수당도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3년차 집단교섭을 맞아 두 달 동안 6차례 실무협의, 2차례 간사협의를 했지만 교육부·교육청은 터무니없는 전제조건을 내걸며 지금까지 교섭을 회피하고 있다"며 "교섭권 침해, 교섭 회피, 부당노동행위를 중단하고 교섭에 성실히 임할 것"을 요구했다.

비정규직연대회의는 7월초까지 단체교섭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전남교육청 노무지원팀 관계자는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 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등 3자 간에 절차 합의가 안되고 있어서 지역 단위 교섭에도 애로가 많다"며 "교섭 회피나 지연은 결코 아니고 3자 합의가 이뤄지면 그에 맞춰 원활한 교섭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남에서는 현재 영양사와 조리사, 조리실무사, 교무행정사, 돌봄전담사, 전문상담사 등 32개 직종에 5500여명이 학교비정규직노조에 가입돼 있다. 공무직과 여성노조 소속까지 합하면 108개 직종에 7500여명에 이른다.

goodchang@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