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노부모에 다 큰 자녀도 부양…노인 빈곤층 될까 걱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건사회연구원 실태조사 발표

"정년 연장해 중장년층 노후 지원해야"



[앵커]

우리나라 국민이 낸 병원비 중에 65살 이상인 노인의 진료비가 지난해 처음으로 40%를 넘었습니다.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진료비 77조 6000억 원 가운데 31조 6000억 원가량이 노인 진료에 들어간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18년 전보다 비율은 2배, 액수는 무려 15배 늘었습니다. 고령 사회의 한 단면이지요. 당장 이들을 부양하고 있는 중장년층의 부담이 큽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기 부모도 돌봐야하고, 다 큰 미혼 자녀까지 함께 먹여살리다 보니까 정작 자기 노후를 준비할 여력이 없습니다. 이들이 나중에 빈곤 노인층으로 전락해서 다시 사회의 부담이 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배양진 기자입니다.

[기자]

49살 박가경 씨는 최근 개인연금을 모두 해지했습니다.

근처에서 모시고 있는 친정 부모님이 갑자기 병원에 입원했기 때문입니다.

[박가경/울산 울주군 언양읍 : 그걸 다 정리해서 급한 불을 끄다 보니까 많이 소진된 상태죠. 지금은 국민연금밖에 없죠.]

대학에 다니는 큰아들과 곧 입학할 작은딸의 학비도 박씨의 몫입니다.

늘어날 일만 남은 병원비와 학비 부담에 박씨의 머릿속은 걱정 뿐입니다.

[박가경/울산 울주군 언양읍 : 연세가 있으시다 보니까 앞으로 병원 가실 일이 더 많잖아요. 불 보듯 뻔한 일이잖아요. 100% 닥칠 일이니까.]

박씨처럼 노부모와 25살 이상 성인 자녀를 이중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장년층이 10명 중 4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부모나 미혼 자녀 중 한 쪽만 부양하는 사람도 37.8%였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45살에서 64살 사이 중장년층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부모와 자녀를 모두 부양하는 중장년층 가구에서 1달에 쓰는 부양비는 평균 115만 원, 월 소득의 17%에 이릅니다.

이렇다보니 정작 본인의 은퇴 후를 위한 자금을 모을 시간이 없습니다.

[김유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 부양 부담을 계속 갖고, 노후 준비도 할 여력이 없다 보면 이들이 노인이 되면 빈곤층으로 전락할 요인이 되는 거죠.]

보건사회연구원은 중장년층에게 노후를 준비할 시간을 주려면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곽세미)

배양진, 신동환, 최다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