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독자칼럼] 대학이 실용적 인재 키워 청년실업 대처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금까지 대학에서 학생들을 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엔지니어로 제대로 길러내지 못해왔기 때문에 기업은 신입사원을 생산 현장에 적응하도록 엄청난 시간을 들여 재교육해야만 했다. 대학이 학생들을 실용적인 엔지니어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는 일자리 미스매칭의 결과를 보아도 금방 알 수 있다. 부천시 관할 중소제조업체 690개에 2018년도 대졸 신입사원과 경력사원을 채용한 결과에 대해 인사담당자로부터 받은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신입사원 채용은 만족도가 20.1%에 불과한 반면에 경력사원 채용은 57.7%에 달했다. 기업 측의 신입사원에 대한 불만족의 주된 요인은 전문성과 직무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즉 이공계 대졸자들 대부분이 실용적인 엔지니어가 아니라는 것이 기업들의 냉정한 평가이다. 이 현상에 대해 대학과 정부와 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야 한다. 이것을 해결할 때 청년실업 해소의 실마리가 잡힐 것이다.

첫째로 대학의 교수요원에 대한 평가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이공계대학은 현재 산업계를 직접적으로 돕는 단기적인 연구와 새로운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과학 기반의 원천적이고 장기적인 연구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대학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전문학술지에 실리는 논문을 교수 평가의 잣대로 삼고 있다. 현재의 산업계에서 적용되는 기술의 발전에 직접 기여한 부분에 대한 평가는 소홀히 해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대학당국은 교수요원들을 과학 기반의 원천적인 신기술을 연구하는 방향과 현재의 산업체를 지원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방향, 즉 투트랙으로 나눠 교수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자신들의 선택에 따라 평가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둘째로 대학은 학생들을 실용적인 엔지니어로 키우기 위해 설계와 실험과 실습시간을 늘리고, 관련 장비를 갖추는 투자를 해야 한다. 대학당국은 온라인 강좌 등을 개설해 학생들이 사전에 예습이 된 상태에서 오프라인 강의 시간은 토의와 과제 해결 등의 시간으로 채우면 보다 질적인 지식 전달이 될 수 있다.

셋째로 정부는 대학의 실험실습 관련 투자에 대한 재정 지원과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해 실용적인 엔지니어 양성에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 기업이 대학에 투자하는 것을 장려해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고 산학협력으로 개발된 제품에 대한 이익 일부가 대학으로 이전되도록 해야 한다. 청년들에게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좋은 일자리를 넉넉히 제공하고 선진 제조업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장철길 에스피에스 대표]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