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영화 '택시운전사' 김사복씨 아들, 힌츠페터 참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18 폄훼는 반민주·반민족적 행위" 비판

5·18 39주년 맞아 추모석 앞서 술잔 올려

뉴시스

【광주=뉴시스】변재훈 기자 = 5·18민주화운동 39주년인 18일 오전 광주 북구 민족민주열사묘역 내 기념공원에서 영화 '택시운전사'의 실제 주인공 고 김사복씨의 아들 김승필씨가 힌츠페터 추모비를 참배하고 있다. 김 씨가 힌츠페터 추모석에 제사상을 차려놓고 술을 올리고 있다. 2019.05.18. wisdom21@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시스】변재훈 기자 = 5·18민주화운동 39주년인 18일 영화 '택시운전사' 속 실제 주인공의 아들이 고(故) 위르겐 힌츠페터의 추모석에 참배했다. 그는 5·18 역사 왜곡과 폄훼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고 김사복씨의 아들 김승필씨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 내 기념공원을 찾아 힌츠페터의 추모석을 참배했다. 참배에는 '힌츠페터를 사랑하는 광주시민모임' 회원 10여명도 함께 했다.

이들은 힌츠페터 추모석 앞에 과일·떡 등 한국식 상을 차려놓은 뒤 차례로 절을 올렸다. 김 씨는 한 차례 묵념을 하고 추모석 앞에 술 한잔을 올렸다.

김승필 씨는 "아버지와의 인연을 생각한다면 힌츠페터 기자는 아버지처럼 모셔야할 분이다"면서 "자식된 도리를 다한다는 마음으로 한국식으로 추모했다"고 밝혔다.

이어 "5·18은 우리나라 현대민주주의의 초석을 놓은 투쟁이다. 이를 널리 알렸던 두 분의 헌신에 늘 감사하다"고 밝혔다.

5·18을 둘러싼 역사 왜곡과 폄훼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다.

김 씨는 "5·18의 진실을 거짓으로 모독하고 폄훼하는 세력에 분노한다. 당장 그만둬야 한다"면서 "국가가 법적으로 기념하고 있는 5·18이다. 5·18과 그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을 폄훼하는 것은 반민주·반민족적인 행위다"고 역설했다.

38주년이었던 지난해에는 힌츠페터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와 김 씨가 추모석을 함께 참배했었다.

뉴시스

【광주=뉴시스】변재훈 기자 = 18일 오전 광주 북구 민족민주열사묘역(옛 망월묘역)에서 위르겐 힌츠페터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여사와 '택시운전사'의 아들 김승필씨가 힌츠페터 추모비를 살펴보고 있다. 2018.05.18. wisdom21@newsis.com


힌츠페터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독일 제1공영방송(ARD-NDR) 일본 특파원으로 광주의 참상을 영상에 담아 5·18을 전세계에 알렸다.

그는 호텔 소속 택시기사였던 김사복 씨의 안내로 계엄군에 봉쇄된 광주 시내를 오가며 5·18 민주화운동을 취재했다.

힌츠페터 씨와 김사복 씨의 일화는 지난 2017년 8월 개봉한 영화 '택시운전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이날 참배에 동참한 '힌츠페터를 사랑하는 광주시민모임'은 지난 16일 추모석 앞에서 '힌츠페터 추모석이 정화조 주변에 위치해 있어 예우에 어긋난다'는 취지의 성명을 내기도 했다.

최근 김사복씨와 힌츠페터 기자의 유해를 민족민주열사묘역 내 기념공원에 나란히 안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힌츠페터 유품(손톱·머리카락)이 안장된 추모석이 있는 기념공원을 정비해 김사복씨의 화장된 유해를 나란히 안치하는 권고안이 5·18기념사업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심의가 통과될 경우 김사복씨와 힌츠페터가 39년 만에 재회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2016년 1월 타개한 힌츠페터는 생전 '죽으면 광주에 묻어달라'는 뜻을 가족들에게 수차례 밝혔다.

그의 유지를 받들어 같은 해 5월에는 고인의 머리카락·손톱 등 유해가 국립 5·18민주묘지 인근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에 안치됐다.

김사복씨는 지난 1984년 12월19일 향년 54세로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wisdom21@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