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SNS 세상] "무늬 없는 반소매 체육복 한 벌이 7만5천원?"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학교 체육복이 아무 무늬도 없는 반팔(반소매) 티랑 바지인데 7만5천원에 파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학교에서 착용하는 여름용 체육복의 값이 지나치게 비싸게 책정된 것 아니냐는 한 누리꾼의 지적이 제기되자 많은 이들이 공감을 표하며 비판에 가세했다. 그러나 체육복을 제작·판매하는 교복업체는 교복의 일종이라는 특성상 일반 상품의 가격과 단순 비교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난 11일 JTH0****라는 아이디를 쓰는 누리꾼은 자신의 트위터에 "동생의 학교 여름 체육복이 한 벌에 7만5천원인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을 올렸다. 그는 질문과 함께 아무 무늬나 장식이 없는 하얀색 티에 역시 민무늬의 검은색 반바지로 된 교복 사진을 게시했다.

연합뉴스

한 누리꾼이 가격 거품 의혹을 제기한 학교 여름 체육복
[트위터 캡처]



이 이용자는 체육복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면 해당 트윗을 리트윗하고 적당한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에 들어요'를 눌러 달라며 다른 누리꾼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16일 오후 현재 2만3천700여명이 비싸다는 의견을 표했고 적당한 값이라고 한 이용자는 500명에 그쳤다.

다른 트위터 이용자들도 이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학교 체육복값이 너무 높다고 호소했다. its_my_******라는 아이디는 "우리 학교 생활복도 8만5천원인데 너무하다"고 말했고, pyeong******은 "우리 딸은 9만원 주고 겨울, 여름 체육복 다 샀다. 너무 비싸네요"라고 동조했다.

지자체별로 무상 지급하거나 지원금을 주는 교복과 달리 체육복이나 생활복은 구매비가 아직 학생의 부담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체육복이나 생활복은 일상복과 비슷한 디자인이기 마련이어서 기성 의류 가격과 자주 비교되면서 불만이 제기되곤 한다.

네이버 카페 '레몬테라스'에 중학교 체육복 가격에 대해 글을 올린 이용자 zone****는 "품질 표시, 제조사 라벨도 없고 바지 주머니도 없는 체육복이 3만5천원이고 바지를 분실해 따로 사려 하면 1만8천원이었다"며 "온라인 마켓에서 이보다 훨씬 싼 옷을 사도 질이 아이 학교 체육복보단 좋을 것 같다"고 비판했다.

대전의 한 고등학교 이모(18)양은 18일 "학교 생활복이 실용성도 없는데 5만원이나 한다. 이 돈이면 브랜드 옷을 사서 입고 싶지만 그러면 학교에서 혼난다. 심지어 천이 얇아 안이 비치는 바람에 무언가를 더 입으면 덥고 안 입기엔 불편하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 학교 교사 김모씨는 "생활복이 싸진 않기 때문에 땀이 많이 밸 수 있는 여름용도 아이들이 한 벌씩만 구매해 자주 빨아 입는 식으로 버티는 것 같다"고 전했다.

학교 체육복의 값이 너무 비싼 것 아니냐는 이용자들의 불만에 교복업계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는 입장이다.

한 교복업체 관계자는 "교복이나 체육복은 학교마다 모두 다른 디자인, 원단의 종류, 섬유 혼용률, 색상 등에 대한 기준을 일일이 맞춰 생산해야 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이라며 "대량 생산되는 기성 의류와 가격을 일률적으로 비교해 교복업체가 폭리를 취한다고 보는 시각은 억울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복이나 체육복은 학교가 제시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업체 중 한 곳을 학교가 선정하는 입찰제로 제작, 판매되기 때문에 교복업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면서 "교복업계도 학생이나 학부모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학교 관계자도 실용적인 가격이 매겨지도록 합리적인 입찰 조건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s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