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서울기록원 15일 개원…세월호기록·공공기록물 등 기억 저장소 역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130만여점의 기록물을 보관한 서울기록원이 2개월간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15일 정식 개원한다. 이곳에선 연말까지 특별전시와 토크 콘서트, 학술대회 등이 이어진다.


은평구 서울혁신파크에 자리한 서울기록원은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1만5000㎡ 규모다. 서고 13개의 선반 총 길이만 29㎞에 달한다. 자료의 소독, 훈증 등에 사용되는 장비도 429개에 이른다. 시는 2016년 공사에 착수, 498억원을 들여 지난해 말 준공했다. 국가기록원 못지않은 수준의 장비를 갖췄다고 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자료는 1910년대 초반 토지관련 기록부터 2000년대에 생산된 전자문서까지 방대하다. 향후 30년간 생산될 분량까지 영구 저장이 가능하다. 행정 문서 등 시정 기록물 외에도 세월호 참사 당시 서울광장 분향소에 시민들이 남긴 추모 글 등도 '사회적 기록물'로 분류돼 이곳에 보존된다. 시는 그동안 경북 청도의 서울시 문서고에 보관돼온 중요 기록물 11만점을 올 하반기까지 이곳으로 모두 이관할 예정이다.


기록원 지하는 전문 보존공간, 지상 1∼3층은 시민참여공간, 지상 4층은 기록물 작업공간으로 이뤄졌다. 전문 보존공간에선 다양한 기록물이 관리된다. 시민참여 공간에는 열람실을 비롯해 기록 전시실, 보존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개방형 서고 등이 있다. 기록물 작업공간에는 훼손된 기록물을 전문가들이 복원하는 기록물 복원처리실 등이 자리한다.


기록원에선 전시, 특별 강연, 콘퍼런스 등 개원 기념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기록전시관에선 목동 신시가지 개발 기록으로 보는 서울 변화상, 재개발을 앞둔 주공아파트 주민들의 기록, 기록으로 밝힌 위안부 이야기 등을 주제로 특별전시가 연말까지 열린다. 18일에는 학술 콘퍼런스가, 30일에는 '글쓰기, 기억을 기록으로'라는 주제로 토크 콘서트가 각각 마련됐다.


서울기록원은 매주 화∼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장한다. 시 관계자는 "외국은 기록원을 박물관, 도서관과 함께 3대 문화유산으로 간주한다"며 "서울기록원이 타 지자체로 공공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을 확산하는 선순환 체계를 만드는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