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부산 버스파업 시 전세버스 300대 투입…학교 등하교 시간 조정(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시철도·경전철·동해선 10% 증편…시교육청 상황실 비상근무

연합뉴스

버스파업 D-1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버스 파업 예정일을 하루 앞둔 14일 오전 부산 한 공영차고지에서 시내버스가 주차돼 있다. 2019.5.14 handbrother@yna.co.kr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조정호 기자 = 부산시는 14일 오후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시는 오거돈 시장을 대책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구·군, 버스조합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가면 전세버스 300대와 시 및 산하기관, 경찰청, 군부대 등에서 보유한 버스를 도시철도나 마을버스가 없는 지역의 출퇴근 시간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기로 했다.

버스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도시철도와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운행도 평소보다 10% 증편한다.

택시부제와 승용차 요일제를 해제하고 차량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공공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승용차 함께 타기 운동도 벌인다.

또 시는 각 기관 및 단체 등에 등교 및 출퇴근 시간을 조정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는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과 혼란을 줄이기 위해 버스 정류장에 노선도 및 안내 요원을 배치하는 한편 시민 대처 요령을 배포할 방침이다.

이밖에 시 대응상황과 비상수송계획을 SNS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파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부산시교육청 버스파업 대책 상황실
[부산시교육청 제공]



부산시교육청은 '버스 파업'에 대비해 상황실을 설치하고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시교육청은 파업 시 유치원, 초·중·고 모든 학교 등·하교 시간을 학교장 재량으로 조정하도록 했다.

지하철과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운행이 취약한 고등학교 밀집 4개 지역에는 교육기관 보유 대체버스 6대를 투입한다.

대체버스 투입지역은 영도지역 508번과 113번 노선, 사상지역 67번 노선, 북구지역 160번 노선. 동래지역 29번 노선(2대) 등이다.

대체버스 노선 이외 지역 각급 학교는 시가 운영하는 임시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15일 버스 파업이 강행되면 학교장 재량으로 조정된 등·하교 시간을 적용하지만, 파업이 철회될 경우 정상적으로 등·하교를 한다"고 말했다.

pcs@yna.co.kr

cc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