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웅제약 "포자검증" vs 메디톡스 "염기서열 분석"…균주전쟁 결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웅 "나보타 균주 포자 생성하면 균주 적법성 입증 가능"

메디톡스 "나보타 균주 전체 염기서열 분석하면 같은 균주"

2년여간 지속된 균주출처 둘러싼 법적공방 끝날까 주목

뉴시스

【서울=뉴시스】나보타. (사진= 대웅제약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백영미 기자 = '보툴리눔 톡신 제제' 이른바 '보톡스' 원료인 균주의 출처를 두고 2016년부터 치열한 공방을 벌여온 대웅제약과 메디톡스가 각각 균주의 '포자 형성 여부'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자사 균주의 적법성과 고유성을 입증하기로 했다. 2년여 간의 지리한 싸움이 끝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웅제약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결정한 균주에 대한 증거수집 절차를 통해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 균주와 메디톡스의 '메디톡신' 균주를 비교 분석해 나보타 균주의 적법성을 증명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앞서 미국 ITC 행정법원은 지난 8일(현지시간) 대웅제약 측에 '나보타'의 균주 및 관련 서류와 정보를 메디톡스가 지정한 전문가들에게 이달 15일까지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

미국 소송은 한국 소송과 달리 증거수집 절차를 통해 양측이 소송에 필요한 자료를 서로에게 요구하고 전달받도록 돼 있다. 양측은 증거수집 절차기간 필요한 자료들을 추가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대웅제약은 균주의 포자 형성 여부를 감정하고 유전체 염기서열분석 등을 진행하기 위해 메디톡스에 균주를 제공할 것을 요청했다.

메디톡스가 메디톡신 균주를 대웅제약에 제공하기로 결정할 경우 대웅제약은 해당 균주를 정밀 비교 분석한 결과를 ITC에 제출할 수 있다.

미국 내 소송과 별개로 국내 소송에서는 대웅제약과 메디톡스의 보툴리눔 톡신 균주 포자 감정이 예정돼 있다. 균주 포자 감정법은 균주가 포자를 형성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웅제약은 타입 A홀 하이퍼 균주를 용인의 토양(마구간)에서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메디톡스 측은 보툴리눔 톡신 균주는 포자를 생성하지 않아 자연상태에서 발견될 수 없다며 나보타의 균주 출처를 의심하고 있다. 나보타의 균주가 포자를 생성한다면 대웅제약 측의 결백이 밝혀진다.

대웅제약은 "어떠한 경우에도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메디톡스의 A홀 하이퍼 균주를 제공받아 그 실체를 직접 확인하고 확실한 검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됐다"며 "국내 법원에서 진행 예정인 보툴리눔 톡신 균주의 포자 감정을 통해 메디톡스의 허위 주장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디톡스는 메디톡신 균주를 대웅제약이 지정한 전문가들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ITC 행정판사가 대웅제약에 나보타의 균주를 제출할 것을 명령한 후 대웅제약 측 변호인이 메디톡신 균주를 받아보고 싶다고 요청했고, 이를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메디톡스는 대웅제약 측에 메디톡신 균주를 제공하는방안이 아닌 나보타 균주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자사 균주의 고유성을 입증한다는 방침이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대웅제약 측에 균주를 제공할 법적인 의무가 없다"며 "내부적으로 논의만 하고 있을 뿐, 대웅 측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이후 추가 논의를 전혀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나보타의 1만3000개 염기서열이 메디톡신과 일치하기 때문에 나보타 균주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자사의 메디톡신과 같은 균주라는 것을 밝힐 수 있다는 게 메디톡스 측의 설명이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과학적으로 공정하게 검증할 수 있는 복수의 국해외 전문가 명단을 ITC에 제출했다"며 "나보타의 균주 및 관련 서류와 정보를 확보해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분석 등 다양한 검증 방식으로 대웅제약의 불법 행위를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의 공방은 2016년 10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시작됐다. 메디톡스는 미국과 한국 법원에 대웅제약이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대웅제약이 자사 균주를 훔쳐 나보타를 제조했다는 것이다. 또 세계 1위 보툴리눔 톡신 개발업체 앨러간과 지난 2월 메디톡스 전 직원이 보툴리눔 균주와 보툴리눔 톡신 제제의 전체 제조공정이 담긴 기술문서를 훔쳐 대웅제약에 제공했다며 대웅제약과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나 에볼루스의 불법 행위에 대해 ITC에 제소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 균주 생산과 관련해 부정행위는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유전자 분석과 포자 검증이 동시에 이뤄진다면 양측이 2년 넘게 법적 공방을 벌여온 균주의 출처가 밝혀지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positive100@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