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천 시내버스 파업 '초읽기'…최종 쟁의조정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금 인상률 놓고 노사 이견, 인천시 비상대책 마련

연합뉴스

버스노조 파업 찬반 투표 개시…교통대란 오나 (CG)
[연합뉴스TV 제공]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임금인상 문제를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는 인천시 시내버스 노사가 14일 2차 쟁의조정에 들어간다.

노조 측은 이날도 임금 인상률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이 총파업을 결의한 15일을 전후해 파업 찬반 투표에 들어갈 계획이다.

현재 자동차노련 인천지역노조는 약 17%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측인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1.8%의 임금 인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인천 시내버스 기사의 월평균 임금은 338만원 수준이다. 노조 요구안에 맞추려면 인천시가 410억원가량의 추가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사측 요구안에는 40억원가량이 필요하다.

시는 시-시내버스 노사가 함께 합의안을 도출하라는 인천지방노동위원회 권고에 따라 임금 인상률에 대한 합의점을 찾고 있지만, 예산 투입 여부와 그 규모는 아직 결론짓지 못했다.

정부가 전날 오후 버스사업장 근로자의 임금지원 확대를 골자로 한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이 역시 인천 버스업계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500인 이상 버스사업장에 대한 근로자 임금지원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기로 했는데 인천 시내버스 노조 소속 업체 중에는 해당 규모의 사업장이 없다. 300인 이상 사업장도 1곳에 불과하다.

인천 시내버스 노조는 이날 2차 쟁의조정에서 막판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파업 찬반 투표에 들어갈 예정이다.

만약 노조가 투표를 거쳐 파업에 돌입할 경우 인천지역 준공영제 노선버스 1천861대와 기사 4천599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200대 이상의 전세버스 확보와 지하철 증편 운행 등 비상운송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개인택시 '3부제'를 해제해 쉴 예정인 택시 3천335대를 추가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하철 증편을 위해 인천교통공사나 코레일 협조를 구하고 있다"며 "각 군·구도 개별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난주 비상 회의를 열었다"고 설명했다.

chams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