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장 전 미 정보부대 군사정보관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은 계획된 시나리오였다’ 특별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두환 전 대통령이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의 발포 직전 광주광역시에 가서 시민군에 대한 ‘사살 명령’을 내렸다는 주장이 13일 나왔다.
김용장 전 주한미군 정보요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 씨가 1980년 5월 21일 K57(제1전투비행단) 광주비행장에 와서 정호용 특전사령관, 이재우 505보안대장 등과 함께 회의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1980년 5월 21일은 계엄군이 전남대학교와 전남도청에서 시민군에게 집단 발포를 한 날이다.
김 전 정보요원은 집단 발포가 이뤄진 5월 21일에 회의가 열렸다는 점을 들어 “전두환 씨의 방문 목적은 사살 명령이었다고 생각한다”며 “발포는 상대방이 총격을 가했을 때 방어 차원에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포 명령과 사살 명령은 다르다”고 말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 측은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에 가지 않았다고 맞서고 있지만, 육군이 남긴 상황일지에는 정호용 당시 특전사령관 등이 헬기로 이동했다는 기록은 있다. 김 전 정보요원은 “전두환이 헬기를 타고 왔기 때문에 비행계획서를 파기하지 않았다면 자료가 남아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정보요원은 또 “시민 행세를 하던 사복 군인들이 30~40명가량 존재했다”며 “이들을 광주로 보낸 것은 전두환의 보안사령부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언비어 유포 역시 시민을 폭도로 만들고 강경 진압의 빌미를 만들기 위해 보안사가 고도의 공작을 벌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정보요원은 자유한국당 일각에서 제기하는 북한군 침투설에 대해 “전두환이 허위 날조한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600명의 북한 특수군이 광주에 왔다는 주장은 미 정보망이 완전히 뚫렸다는 얘기인데, 당시 한반도에서는 두 대의 위성이 북한과 광주를 집중 정찰하고 있었다”며 “북한에서 600명이 미국의 첨단 감시망을 피해 들어오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김 전 정보요원은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송정공항에 있던 제1전투비행단에 주둔한 주한미군 501여단에서 근무한 바 있다. 그는 자신이 작성한 보고서 40건 가운데 5건이 백악관으로 보내져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3건을 읽었다고 했다.
허장환 전 505보안부대 수사관 또한 이날 증언자로 나서 “전두환 씨는 절대 발포 명령권자가 아니라 사격 명령권자였다”고 주장했다. 허 전 수사관은 5·18 민주화 운동 당시 수사관으로 근무했다가 1988년 광주 청문회에서 양심선언을 했다.
허 전 수사관은 “보안사가 광주를 평정하고 제일 급박하게 한 일이 자행한 범죄를 숨기기 위한 기구를 만드는 것이었다”며 “그 기구가 511대책분석반이었고, 나중에 511 연구회로 탈바꿈했다”고 말했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최신 뉴스 ▶ 두고 두고 읽는 뉴스 ▶ 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