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가면 뒤에 숨지 않겠다”…대한항공 직원들, 물컵 갑질 1주년 “함께 하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항공 ‘갑질규탄’ 촛불집회 시작한 세종문화회관 계단 모여 집회

박창진 지부장 “부당전보 동료 복직 등 노조 힘으로 이뤘다”

세계일보

3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대한항공 갑질규탄 1주년 촛불집회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내용이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1년 전 광화문 광장에 나와 총수 일가의 각종 ‘갑질’을 폭로하고 이들의 경영 퇴진을 주장했던 대한항공 직원들이 다시 같은 자리에 모여 촛불을 들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대한항공직원연대지부와 대한항공조종사노조는 3일 오후7시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대한항공 직원연대 1주년 촛불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이른바 ‘땅콩 회항’ 피해자로 대한항공직원연대지부 지부장에 오른 박창진 사무장과 직원연대 노조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1년 전 10차례 가까운 집회를 했을 때 수백명이 모였던 것과 비교하면 규모는 크게 줄었지만, 이들의 목소리는 작아지지 않았다.

참석자들은 ‘적정인력 확보’, ‘근로시간 개선’, ‘노동 3권 보장’, ‘필수공익 폐지’ 등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이어갔다.

직원연대 지부장을 맡은 박창진 사무장은 이날 집회에서 “1년 전 제가 이 자리에 섰을 때는 제 옆에 함께하는 동료가 없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지금은 함께 하는 동료들이 많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지난 3월 조양호 회장의 사내이사 불신임안 통과와 부당 전보됐던 동료들의 복직 등 모두 직원연대 노조의 힘이 모여 이룰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1년이 지난 지금 여러분은 용기 있는 고발자가 됐고, 연대했기 때문에 살아남은 피해자가 됐다"고 말했다.

1년 전 신분 노출에 따른 불이익을 우려해 가면을 썼던 직원들은 “이제 더는 가면이 필요하지 않다”며 가면을 벗어던지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직원연대는 “대한항공 모든 직원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노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 대한항공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변모해 다시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항공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직원연대는 지난해 4월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이른바 '물컵 갑질'을 계기로 조직됐다.

처음 익명 채팅방에서 총수 일가의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을 때 이 집회가 현실화할지 반신반의하는 목소리가 컸다.

공개된 장소에 직접 나와 회사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은 대한항공 조직문화를 고려할 때 쉽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직원들은 저항시위의 상징인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쓰고 광장으로 나와 촛불집회를 성사시켰다.

시민들도 언론을 통해 알려진 한진 일가의 '갑질' 행태에 분노하며 집회에 함께참석해 직원들을 격려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