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권위주의 상징' 관사를 시민 품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최근 청와대 경호처, 대법원, 부산시 등이 관사를 둘러싼 문제로 애를 먹고 있습니다.

관사가 가진 권위주의적인 이미지와도 연관돼 있는데요.

일부 지자체는 관사를 쓰는 대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충남 내포신도시에 24시간제 보육시설이 문을 열었습니다.

갑작스럽게 아이를 맡길 필요가 있을 때 낮에는 한 시간에 천 원, 밤에는 4천 원씩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강효경 / 어머니 : 도움은 많이 되죠. 급할 때, 아기 맡길 데 없고 그러면 좋을 것 같아요.]

24시간제 보육시설이 들어선 이곳은 지난 지방선거 전까지 충남도지사 관사로 쓰던 건물입니다.

외빈 접대 기능 등 공관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고루 쓰는 장소로 내어놓는 게 낫다고 판단했습니다.

[양승조 / 충남도지사 : 아이 키우기 좋은 충남을 실현하는데 충남도지사 공관을 내놨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상징이 될 것이라는….]

여기는 충남도청이 대전에 있던 시절 도지사 등의 공관이 밀집해 있던 이른바 '관사촌'입니다.

일반인 출입을 막던 대문이 활짝 열려서 사람이 북적입니다.

대전시가 10개 공관을 만화도서관, 목공방 등으로 꾸며 이달 초 시민 문화 공간으로 개방했습니다.

[김선미 / 대전 시민 : 이 공간이 생기면서 사실 이 안에서 벼룩시장 같은 것도 진행하는 거로 알고 있는데 그런 거로 해서 시민끼리도 같이 소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좋은 것 같습니다.]

이보다 앞서 대전시장 관사는 시립어린이집으로, 인천시장 공관은 역사자료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개인 대신 모두가 함께 쓰는 공간.

관치시대, 권위주의 상징으로 불리던 관사의 변신이 반가운 까닭입니다.

YTN 이문석[mslee2@ytn.co.kr]입니다.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