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교수 갑질·성추문' 논란에… 서울대 '권리장전'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대 인권센터, 권리장전 제정 제언 / 교수·학생·직원 참여 제정 추진

세계일보

서울대학교가 교수들의 연이은 성추문, 갑질 논란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학생·교직원들의 권리와 책임을 선언하는 ‘서울대 권리장전’(가칭)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22일 서울대 관계자는 “연구진을 구성해 교수·학생·직원 등 대학 구성원들의 권리와 책임을 담은 권리장전 초안을 만들 계획”이라며 “초안을 중심으로 학내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형태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서울대 인권센터는 ‘서울대 인권 개선 과제와 발전 방향-학생 인권을 중심으로’라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대학에 권리장전 제정을 제언했다. 보고서는 “2016년부터 서울대에서 교수와 대학원생 사이의 인권침해 문제가 사건화되는 등 구성원 간 인식 격차로 갈등이 증폭됐다”며 “대학공동체 구성원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합의를 이루고 이를 명시한 인권규범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교수·학생·직원 등 전구성원을 모두 포함하는 ‘서울대 권리장전 제정위원회’를 총장 직속 기구로 설치하고 △대학 구성원의 책임과 권리 △대학의 의무 △권리장전 위반에 따른 절차 등의 내용을 담은 권리장전과 이 내용을 구체화한 ‘인권지침’을 만들 것을 주문했다.

서울대 측은 “권리장전에 포함될 구체적인 내용이나 권리장전의 위상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초안 마련 후 여러 의견을 종합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권리장전 제정 추진은 서울대에서 교수들의 ‘권력형 비위’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서어서문과 A교수는 대학원생 제자를 해외 학회에 강제로 데려가 억지로 술을 마시게 하고 동의없는 신체접촉을 한 것으로 드러나 징계위원회에 회부된 상태다. 학내 구성원들은 ‘A교수 사건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A교수의 파면을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인문대 학생회장은 단식 15일째 건강 악화로 병원에 이송됐고, 서어서문학과 학생회장 등이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회과학대 H교수가 2010년부터 수년간 지도학생, 학부생, 조교 등에게 폭언과 성추행을 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H교수는 두 차례 징계위 끝에 결국 정직 3개월에 그쳤다.

앞서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대학 내 학생들의인권상황이 선진국보다 열악한 것은 사실”이라며 “서울대 신뢰 회복을 위해 갑질이나 성 문제 등에 대해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