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고창군, 시농대제(始農大祭) '성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기상 군수 '한반도 농생명수도 비전 선포'

'한반도 농업가치존중'을 테마로 한 전국 최초 지자체 주관행사

아시아투데이

유기상 고창군수가 한반도 농생명문화수도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제공 = 고창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창/아시아투데이 신동준 기자 = 한반도 농생명문화 시원지 전북 고창군이 국내최초로 개최한 시농대제(始農大祭)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21일 고창군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고인돌공원일원에서 유기상 군수와 조규철 군의장, 지역 농민단체 대표 등 농업계 인사와 군민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고창 한반도 시농대제’가 열렸다.

시농대제는 순수하게 ‘한반도 농업가치 존중’을 테마로 한 전국 최초의 지자체 주관 행사다.

행사는 총 3부로 나눠 진행됐다. 1부 타악공연(땅의 울림), 100세 어르신 세수식과 미디어 퍼포먼스(선택의 땅, 고창), 시농의식(씨앗 심기)으로 분위기를 한층 끌어 올렸다. 이어 2부에선 유기상 군수가 한반도 농생명문화수도 비전을 선포했다.

유 군수는 “고창군은 거석문화의 흔적이 살아 숨쉬고, 한반도 문명이 시작된 곳이다”며 “농생명 식품산업을 살리고, 선택받은 땅 고창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농생명문화수도 고창을 선포한다”고 외쳤다.

특히 이번 고창한반도 시농대제는 그간 타 지역 농업축제에서 등한시 됐던 지역농민을 주체로 했다.

‘농부권리장전 선언문’에선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이 땅을 보전하고 후대에 물려줄 권리 △토종 종자를 보호하고 식량주권을 확보할 권리 △땅이 훼손되거나 농업의 가치가 파괴되는 것을 거부할 권리 등이 담겼다.

이 밖에 행사장에선 ‘씨앗나눔 마당’이 열려 고창군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작물의 씨앗(옥수수등 20품목)을 나눠주고, 모종 4만주를 원가로 살 수 있는 기회도 마련돼 호응을 얻었다.

앞서 농경문화 중심의 한반도는 고조선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제천행사를 열고, 생명의 근원인 창조신과 곡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하지만 고려와 조선시대 때는 “황제만이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고, 조선은 그러한 권한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중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한반도 농생명 문화 시원지인 고창군이 지역농민들과 울력해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살린다는 의미가 크다”며 “이번 한반도 시농대제를 통해 고창군이 명실상부한 농생명식품산업의 수도로 발돋움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