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불붙는 OTT 시장

[주목!e해외주식]콘텐츠 경쟁력 '쑥쑥'…미소 짓는 넷플릭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Q 매출 45억달러…전년 동기比 22% 증가

해외 스트리밍 매출 52%…해외시장 공략

자체제작 콘텐츠 인기에 경쟁력 우위 자신감

이데일리

배우 이지은(아이유)이 2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페르소나’ 제작발표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미드(미국드라마) 보면 얼마나 본다고…’

2016년 1월 넷플릭스(Netflix)가 한국에 처음 상륙했을 때 시장의 평가는 생각보다 후하지 않았다. 텔레비전을 통한 콘텐츠 수요가 여전했고 해외콘텐츠에 대한 저변 확대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다. 이듬해 6월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옥자’가 세간에 오르내리긴 했지만 큰 파장은 불러 일으키지 못했다.

3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넷플릭스를 바라보는 업계의 평가는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 닐슨코리아클릭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넷플릭스 웹·안드로이드 앱 순방문자는 240만 2000명으로 지난해 2월(48만5000명)과 비교해 무려 4.95배 높아졌다. 같은 기간 넷플릭스를 사용하는 평균 체류 시간도 125분에서 306분으로 2.5배 증가했다.

몰라보게 달라진 넷플릭스의 위상증을 증명하듯 지난 18일 발표한 넷플릭스 1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결과를 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45억2000만 달러로 시장기대치(45억달러)에 부합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4억6000달러로 3%가량 늘면서 시장기대치(4억1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전체 유료 가입자도 전년대비 25%(960만명) 증가하며 추정치(890만)를 상회했다. 해외유료가입자 순증(786만)이 시장기대치(731만)를 웃돌며 증가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해외 스트리밍 매출의 비중 확대가 눈에 띈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2013년 1분기 14%에 불과했던 해외 스트리밍 매출은 올해 1분기 들어 52%로 6년 새 3.7배나 늘어났다. 북미를 축으로 한 내수시장에서 유럽과 아시아 등 해외시장으로 사업 비중을 크게 늘려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1월 25일 넷플릭스를 통해 독점 공개된 6부작 드라마 ‘킹덤’도 국내 점유율 상승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126만명 수준이던 넷플릭스 이용자 수는 킹덤이 공개된 올해 1월 209만여명으로 한 달새 65.6%가 증가했다. 나이별로도 주 시청자층인 20대(24만명)뿐 아니라 30대와 40대(각 23만명), 50대(13만명)에서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자제 제작 콘텐츠에 대한 넷플릭스의 자신감은 나날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넷플릭스에서 시청하는 시리즈 상위 10권 전부가 오리지널 시리즈일 정도로 라이선스 작품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어서다. 올해 3분기 이후 “기묘한 이야기(Strange Things)” 등 다수 인기작 출시를 통해 ‘디즈니+’ 등 경쟁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글로벌 모바일다운 스트림에서 넷플릭스의 비중이 2%에 불과해 시장에서 성장 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인도등 에서 다양한 가격 테스트를 통해 지역별 최적화된 구독모델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어 해외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