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Weekend 반려동물]사지 마세요! 입양하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서 발생된 유기동물 25%가 안락사 돼
유기동물 발생 방지 대책·입양 활성화 필요
서울시, 지난 2017년 '동물복지지원센터' 설립
혐오시설로 여기는 지역주민의 인식개선 필요
마이크로칩 삽입·입양 교육 수료 의무화 등 필요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인을 잃은 유기동물은 어떻게 될까?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국 동물보호센터에 수용된 유기동물은 10만2500마리가 넘는다. 그중 98.9%가 개와 고양이다. 구조된 게 이 정도니 끝내 주인을 찾지 못한 동물은 훨씬 많을 게 분명하다.
운이 좋아 지자체에 구조됐다 해도 끝난 게 아니다. 저를 잃어버린, 혹은 새로운 주인을 만나기까지 지난한 과정이 기다린다. 통계는 유기동물이 처한 냉혹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구조된 유기동물 가운데 27.1%가 보호소 등에서 자연사했고 20.2%는 안락사 처리됐다. 본 주인을 찾거나 새 주인을 만나는 경우는 절반에 훨씬 못 미쳤다.
서울시의 경우 구조된 유기동물 대부분이 경기도 양주에 있는 유기동물보호소로 보내진다. 서울 25개구 가운데 20곳이 이 보호소에 유기동물 보호를 위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해당 보호소가 특별한 자격요건이 필요 없는 사설보호소란 것이다. 매년 서울에서 발생하는 8000마리 이상 유기동물 가운데 상당수가 이곳으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수의사는 단 한 명뿐이다. 이곳으로 보내지는 유기동물의 최소 15%가 안락사 된다는 보고도 있다.
■피할 수 있는 죽음의 고리 끊어야

파이낸셜뉴스

노창식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이하 센터)는 서울시가 관할 내에서 발생하는 유기동물 처리체계를 개선하고자 2017년 설립한 기관이다. 유기동물 대부분을 양주로 위탁하고, 그중 상당수가 피할 수도 있었던 죽음을 맞이하는 상황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다.

노창식 동물복지시설관리팀장(센터장·59)에 따르면 센터는 세 가지 기능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유기동물 치료와 입양, 시민에 대한 인식개선이다. 노 센터장은 “통계를 보면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유기동물 중 25% 정도가 안락사 된다. 줄어들긴 했지만 2010년 한 해 유기된 동물 1만 마리를 기준으로 하면 2500마리나 안락사 된다는 뜻”이라며 “예산이 한정돼 사설보호소가 무한정 보호하고 있기도 어려운 일이고, 길거리를 배회하다 보니 골절이나 피부병 등 문제가 생기는데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죽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에서만 한해 1만 마리 가까운 유기동물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가장 시급한 방책은 입양 활성화다. 열악한 수용환경에 많은 유기동물이 몰리는 상황에서 입양되는 개체는 물론 남는 개체에게도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 센터장은 “양주는 입양하려는 분이 직접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어 입양이 쉽지 않다. 잃어버린 개를 찾으려는 주인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관내 보호센터가 있거나 동물병원과 협약을 맺어 위탁하는 구에서 주인을 찾거나 입양보내는 비율이 현저히 높은 것도 그 이유다"라면서 “강동구 리본센터, 서초구 동물사랑센터가 모범적인 사례로, 관내에 보호센터가 있다 보니 입양되는 비율이 훨씬 높고 안락사도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유기동물보호센터가 집값을 떨어뜨리는 혐오시설로 여겨져, 지역주민의 반대에 맞닥뜨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서울시 센터 역시 설립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노 센터장은 “일단 서울이 곤란한 게 시설을 지을 부지도 마땅치 않고 지역 주민들이 시끄럽다거나 똥, 오줌을 싸서 냄새가 날 거라는 이유로 반대를 하다 보니 설립이 어려웠다”라며 “처음 한강치안센터 중 한 곳이 노후화돼 이전한 곳에 지으려고 했는데 주민반대가 컸고, 재개발 지역에서 좀 떨어진 곳이 있었는데 거기도 반대로 좌절됐다”고 털어놨다.

때문에 센터는 상암동 서울시 빌딩 지하 한 귀퉁이에 세 들어 있는 상태다. 자연히 최대 수용 반려동물수도 50마리 정도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인천시에 대규모 동물보호소 설립 및 위탁을 추진하고 있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유기견 발생 끊는 제도적 장치 마련돼야
파이낸셜뉴스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물병원에서 직원들이 아픈 개를 치료하고 있다. / 사진=김성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노 센터장은 근본적으로 유기동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 센터장은 "지금 체내에 마이크로칩을 삽입해 반려동물을 등록할 수 있는데, 이 제도를 의무화하면 유기동물이 확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우리 센터에도 지난해 칩 있는 유기동물 들어온 게 열 마리가 넘는데 모두 주인이 와서 데려갔다"고 말했다.
노 센터장은 이어 "반려동물을 너무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문제다. 연예인들이 방송에 나와서 반려견이랑 놀면 그 품종이 확 유행하는 경향이 있다. 완전히 물건으로 보는 건데, 교육도 받을 필요가 없는데다 기본적인 시선이 그러니 유기동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외국에선 구입이 아니라 입양하도록 되어 있고, 세금을 내도록 하거나 여러 가지 준비과정을 요구해서 웬만한 마음가짐으론 동물을 키울 수 없다"고 설명했다.

황당한 사례도 있었다. 노 센터장은 "설 즈음에 한 사람이 자기 반려견을 칼로 찔러서 신고된 사례가 있었는데 그 사람이 센터로 전화를 해와 '개를 돌려줄 건지 확실히 답해달라'고 하더라"며 "'안 보내줘도 되는데 안 돌려줄 거면 개를 새로 사려 한다'고 해서 굉장히 당혹스러웠다. 이렇게 문제가 있는데도 다음날 바로 개를 살 수 있도록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센터의 당면목표는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다. 노 센터장은 "치료가 필요한 유기동물이 많으니 빠르게 데려와서 빨리 입양을 보내고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 여유가 되는 대로 양주에서 치료가 필요한 동물들을 데려와 치료할 예정"이라며 "시민들의 인식을 바꾸는 작업도 중요한데 부족한 여건에서 홍보가 쉽지만은 않다. 유기동물 입양에 대한 정보가 많이 알려졌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pen@fnnews.com 김성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