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서울 아파트 추가하락 기대에 급매물 나와도 외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지역 거래량 작년 9월 1만2천→2월 1587건...3월 현재 862건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9월 1만2227건에 이르렀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는 3월엔 18일 기준 862건을 기록하고 있다. 전월인 2월 1587건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9·13 대책 이후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문제는 공동주택 공시가격 발표에도 거래가 늘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당초 예상보다 낮은 공시가격 증가율로 인해 '버티기'에 돌입하는 집주인이 늘어날 수 있고, 매수자 입장에서는 종합부동산세 등 과세가 본격화되고 난 이후 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여전해서다.

■작년 9월 1만2천→2월 1500건
1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된 9·13 대책 이후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해 최근엔 대책 전의 10분의 1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9월 1만2227건에 이르렀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는 같은해 10월 1만102건으로 떨어졌다. 부동산거래 신고일은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이기 때문에 9·13 대책 효과가 본격 반영된 11월엔 3533건으로 급감했다.

이어 계속해서 거래량이 감속해 12월엔 2282건, 올해 1월에는 1870건으로 하락했다. 3월엔 이날 현재 862건을 기록해 전월인 2월 1587건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서울의 거래절벽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되면 세금 부담을 이기지 못한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많이 내놓으면서 거래가 일부 살아날 것으로 예상해왔다. 하지만 지난 14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 발표 결과, 예상보다는 크지 않은 범위에서 고가 다주택자들을 겨냥한 '핀셋 규제'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시장의 매물을 급증시킬만한 파급력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서울 강남권과 용산, 동작 등에 공시가격 9억원 이상 고가주택을 보유하고 있거나 여러채를 갖고 있는 다주택자의 경우 보유세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면서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로 매매가격 조정, 거래량 급감 등 주택 구매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는 가격이 하락해도 거래량 감소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6월 1일 과세기준일 이전에 추가 매도매물이 나올 가능성은 있으나 큰 폭의 매물 출회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하락 기대에 급매물도 외면
실제 서울의 경우 9·13 대책 이후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있긴 하지만 강남 및 재건축 단지 위주로 크게 떨어진 가격이 평균을 낮춘 측면이 있다. 심지어 호가가 상승한 지역도 있어 매수자들은 가격 하락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결국 추가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급매물이 나와도 거래로 연결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공시가격이 올라 세금 부담이 일부 증가하는 경우에도 다주택자들의 카드는 다양하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매매보다는 증여를 택하는 사례가 늘면서 지난 1월 서울의 아파트 증여거래 건수는 2006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인 1511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매매 대신 세입자에게 늘어난 세금을 부담시키는 방식으로 버티기에 들어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본부장은 "집을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일단 본인의 수익률을 맞추는 게 첫번째 원칙일 수 밖에 없다"면서 "재산세가 조금이라도 늘어날 경우 그 돈을 전세나 월세 세입자에게 전가하지 않을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장 본부장은 "재산세가 지난해보다 오른만큼 월세를 올리거나 관리비를 조정하는 식으로 충분히 세금 부담을 피할 수 있다"며 "시장에 매물이 일부 늘어난다면 세금 부담 보다는 막힌 대출이 더 큰 원인이다. 입주 물량 증가로 전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면 급매로 던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