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SK텔레콤, 5G서 양자암호통신 첫 상용화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SK텔레콤 직원들이 성수 교환국사에서 양자난수생성기가 적용된 가입자 인증서버를 점검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5세대(5G) 이동통신 가입자 인증 서버에 양자난수생성기를 적용하며 양자기술을 세계 처음으로 상용화했다. 다음 달에는 5G 서울-대전 전송망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하는 등 상용화 범위를 넓힌다. 양자 생태계 확산을 위한 국제표준 제정에도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은 18일 개최한 간담회에서 양자난수생성기, 양자암호통신, 국제표준화 등 양자기술 상용화 현황과 계획을 발표하고 '양자시대'를 선언했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은 “5G 시대에는 보안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면서 “양자암호기술로 5G 핵심 보안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5G 가입자 인증 서버에 양자난수생성기(QRNG)를 적용했다. 이미 기술 적용을 완료, 5G 단말을 신규 개통하면 언제라도 양자기술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가입자 인증 서버는 신규 개통한 단말 사용자가 정상 가입자인지 인증하는 중요한 절차를 수행한다.

다음 달 서울 성수국사와 대전 둔산국사 221㎞ 구간을 양자암호키분배(QKD)로 연결한다. 이 구간은 SK텔레콤 네트워크 가운데 데이터 트래픽이 가장 많은 곳이다. SK텔레콤은 QKD를 통해 5G와 롱텀에벌루션(LTE) 트래픽을 모두 보호한다. QKD는 양자암호통신 핵심 기술로, 양자 물리학 특성을 활용해 안전하게 암호해독 열쇠를 분배한다. QKD가 적용된 해당 유선 구간에서는 물리 법칙을 어기지 않는 한 정보 탈취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장거리 전송이 어려운 QKD의 한계를 '양자중계기'로 극복, 200㎞ 이상 상용 구간에서 양자암호키를 분배하는 등 기술력을 과시했다. 5G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한 것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이 2016년 세종-대전 LTE 백홀 구간에 양자암호통신을 시범 적용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장거리 상용 구간에 적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양자 생태계 선도를 위해 국제표준화에도 힘쓴다. SK텔레콤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에서 양자표준 분야 의장을 맡고 있으며, 양자암호키 국제 표준 프로젝트의 공동편집인으로 참여한다.

SK텔레콤 양자기술은 연구개발(R&D) 시작 8년 만에 빛을 봤다. SK텔레콤은 2011년 양자기술연구소(퀀텀테크랩)를 설립하고 국내 양자기술 R&D를 선도했다. 지난해 세계 1위의 양자암호통신 기업인 스위스 IDQ를 인수하는 등 지금까지 1000억원 넘는 자금을 투자하며 장기간 양자기술 육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SK텔레콤은 위성 QKD 등으로 R&D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곽승환 IDQ 부사장은 “국가 간 또는 대륙 내 장거리 암호키 분배를 위한 양자위성 수요가 많다”면서 “2022년 또는 2023년 양자위성 발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SK텔레콤 직원이 가입자 인증서버에 적용된 양자난수생성 칩을 들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