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증가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전체 규모에서도 이미 위험 수준을 넘어섰다는 사실이 심각하다. 우리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6.9%에 이르렀다는 게 그것이다. 가계부채가 어느새 GDP만큼이나 늘어났다는 얘기다. 물론 가계부채가 GDP 규모를 넘는 나라가 없는 것도 아니다. 스위스를 비롯해 호주,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캐나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들 국가들에 있어 지난해 3분기 가계부채 비율이 모두 떨어졌다는 게 우리와는 중요한 차이점이다.
이런 사정이니 만큼 소득에 비해 상환 부담이 급속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작년 3분기 기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2.5%로,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1분기 이래 가장 높았다는 점에서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소득액 중에서 그만큼은 대출 상환으로 지출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과도한 부채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게 되면 가계 소비는 줄어들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성장 둔화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일단 빌려 쓰고 보자는 가계부채의 치명적인 함정이다.
이제는 더 이상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 앞서 열거한 국제결제은행의 통계치가 아니라도 가계부채 규모가 이미 1500조원에 이르렀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위기감을 느껴야 하는 게 마땅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우리 가계부채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이유도 마찬가지다. 다행스럽게도 폭증 추세는 멈췄다고 하지만 그 정도로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은행 대출을 억제하면서도 가계 소득을 올리는 현실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