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렘수면행동장애 환자 73.5%, 12년뒤 신경퇴행질환
서울대병원 등 전 세계 11개국 1280명 환자 장기 추적
[사진 서울대병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연구는 세계 11개국 24개 센터의 수면·신경 전문가가 벌인 조사다. 북미·유럽의 의료기관이 주로 참가한 연구에 아시아에선 정기영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가 유일하게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수면다원검사로 확진된 특발성렘수면행동장애 환자 1280명을 장기간 추적 관찰했다. 치매와 파킨슨병 발생률 및 신경퇴행질환 위험도도 평가했다. 대상자 가운데 한국인은 서울대병원 신경과 환자 28명이 포함됐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6.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4.6년, 최장 19년이었다.
연구 결과 특발성렘수면행동장애 환자는 연간 약 6.3%, 12년 후에는 73.5%가 신경퇴행질환으로 진행됐다. 신경퇴행질환 위험요인으로는 운동 검사 이상, 후각 이상, 경도인지장애, 발기 장애, 운동 증상, 도파민운반체 영상 이상, 색각 이상, 변비, 렘수면무긴장증 소실 등이었다.
렘수면.[사진 서울대병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경퇴행질환처럼 특발성렘수면행동장애 역시 완치할 수 있는 약이 없다. 하지만 다른 신경퇴행질환의 경우 치료를 일찍 시작하면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의료계에선 특발성렘수면행동장애 역시 같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사진 서울대병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