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13개월만에 20만명대 회복…30·40대 취업자 대폭 감소
"노인 일자리 사업 등 영향"…제조업·도소매업 등 취업자 크게 줄어
공공 일자리 사업 확대와 농림어업 종사자 증가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노인 취업자가 통계 작성 후 가장 크게 늘었다.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이나 금융 및 보험업 일자리는 큰 폭 줄었고 30·40대도 취업자가 크게 감소했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통합모집 행사에 참가한 고령 구직자가 취업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통계청이 13일 공개한 '2019년 2월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63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3천명 많았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취업자 증가 폭은 작년 1월(33만4천명) 이래 13개월 만에 최대다.
[그래픽] 2월 취업자 13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
취업자 증가 폭은 작년 2월에 10만4천명으로 급격히 축소한 데 이어 올해 1월(1만9천명)까지 12개월 연속 부진했다.
작년 8월에는 취업자 증가 폭이 3천명을 그쳐 마이너스를 겨우 면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 확대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고용 확대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분야에서 취업자가 1년 전보다 23만7천명(12.9%) 증가했다.
2019년 2월 27일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여성취업상담 '일자리부르릉 버스'를 찾은 구직자가 채용정보 게시판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농림어업 취업자도 1년 전보다 11만7천명(11.8%) 늘면서 취업자 확대에 기여했고 정보통신업은 7만2천명(9.0%) 늘었다.
반면 제조업(-15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명), 금융보험업(-3만8천명)의 취업자는 크게 줄었다.
제조업은 취업자가 작년 4월부터 11개월 연속 줄었다.
당국은 공공 일자리 사업과 농림어업 취업자 증가 등이 고용지표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노인일자리 사업에 지원한 분들이 보건·복지·공공행정 등 분야에 취업자로 유입했고 농림어업에서 취업자가 10만명대 증가를 기록한 것도 취업자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9만7만천명 늘었다. 특히 65세 이상은 26만2천명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한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1982년 7월 통계작성을 시작한 후 가장 많이 늘었다.
2019년 2월 23일 서울시 공무원 제1회 공개경쟁 및 경력경쟁 임용시험 응시자들이 고사장인 서울 노원구 경기기계고등학교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반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11만5천명, 12만8천명 줄었다.
실업자는 130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8천명 늘었다.
2월 기준 실업자 수는 비교 가능한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2017년(134만2천명), 2016년(130만9천명)에 이어 세번째로 많았다.
2월 실업률은 4.7%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3.4%로 작년 2월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보조지표3은 24.4%로 1.6%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은 59.4%로 0.2%포인트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8%로 1년전과 같은 수준이었다.
취업자 증감을 종사상 지위로 구분하면 상용근로자가 29만9천명 늘었고 임시 근로자는 4만3천명 감소했다. 일용 근로자는 4만명 증가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천명 늘었다. 줄곧 감소하다 16개월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sewon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