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산업硏 "4차산업혁명, 성장 둔화 속도 늦출 것…선택 아닌 필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차산업혁명을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 보고서

혁신 성공하면 2025년 성장률 2.85%…기존 전망 2.71%보다↑

서비스업이 주도하면 성장률 개선 효과↑

뉴시스

【세종=뉴시스】(자료 = 산업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장서우 기자 = 우리 경제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가운데 4차산업혁명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면 성장 둔화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4차산업혁명을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4차산업혁명을 계기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재화를 동시에 생산하는 기업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2025년까지 우리 경제는 연평균 2.8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산업이 등장하며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기존에 없었던 기술, 생산구조, 제품, 비즈니스 모델 등이 등장하는 것이 4차산업혁명에 따른 하나의 '메가 트렌드'가 되고 있다고 봤다. 이러한 융합 시나리오가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현재의 성장 속도가 유지될 경우 우리나라 경제는 2025년까지 2.71% 성장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내다보고 있다.

전망 기간을 2035년까지로 좀 더 늘려보면 성장률 전망치는 1.93%로 더욱 낮아진다. 그러나 역시 융합 시나리오가 작동할 경우 이를 소폭 회복할 수 있다는 예측이다.

보고서에선 융합 시나리오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융합 기업의 비중이 2016년 기준 6.4%에서 2035년까지 7.5%까지 증가하는 경우를 '제조업 주도형'으로, 해당 비중이 73.1%까지 크게 증가하는 경우를 '서비스업 주도형'으로 본 것이다. 서비스업 중 정보, 통신, 연구, 사업지원서비스 등 4차산업혁명에 따른 추가 성장이 가능한 부문은 증가분을 2배로 반영해 서비스업이 성장을 이끌어 가는 상황을 가정했다. 산업의 비중 역시 제조업은 지속해서 축소되는 반면 서비스업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을 반영했다.

보고서에선 연구의 기준 전망 시점인 2035년에 서비스 주도형의 경우 성장률이 2.2%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준 전망치보다 0.27%p 높은 수준이다. 제조업 주도형일 땐 이보다 약간 낮은 2.12%로 관측되지만, 여전히 기준 전망보단 0.19%p 높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용호·김재진 동향·통계분석본부 전문연구원은 "4차산업혁명에 대한 성공적인 대응이 경제 성장의 둔화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은 충분히 해낼 것으로 나타났다"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은 선택지 아닌 필수이며 도태하면 낙오되는 생존의 개념"이라고 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자료 = 산업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혁신의 긍정적인 효과는 산업 구조상 제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다. 보고서에서 제시된 '4차산업혁명 시나리오별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 전망'을 보면 2035년까지 제조업 성장률은 1.57%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지만, 제조업 주도형일 경우엔 2.00%, 서비스업 주도형일 경우엔 1.76%까지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서비스업이나 사회간접자본(SOC), 농림어광업과 비교해볼 때 개선 효과가 큰 편이다.

두 연구원은 "세부 업종별로는 반도체, 전기장치, 정밀기기, 기계 등 4차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산업들의 성장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의약품 등 바이오산업을 포괄하고 있는 정밀화학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성장률 개선 폭은 제조업보단 낮지만, 성장률 자체가 전산업 생산률을 웃돌 것으로 예측됐다. 두 연구원은 4차산업혁명과 연관성이 높은 정보·통신서비스, 사업서비스, 문화·오락서비스 등의 성장이 특히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제조·서비스가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재화는 경쟁력이 기반이 됐을 때에만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산업으로 자립할 수 있다. 융합형 재화의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제조업 제품만 경쟁력을 확보하고 서비스업 경쟁력은 열위에 있다면 서비스 관련 플랫폼은 해외로부터 수입될 가능성이 높다"며 "서비스업 부문의 경쟁력 제고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자동차와 같은 기업이 자율주행차나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갖더라도 이를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플랫폼이 부족하다면 성장의 과실이 다른 부문으로 확산되지 못할 것이란 지적이다.

이들은 "한국은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제조업 부문에서 중간재로 투입하는 서비스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제조업 부문의 생산 증가로 인한 긍정적 파급효과가 서비스업 부문으로 전이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짚으며 "품질 경쟁력을 통해 중간재, 최종재 단계에서 수요가 확대된다면,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월등히 향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suwu@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