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부산도 '미세먼지 저감조치' 첫 발령…효과는 "글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차량 2부제 공공기관만 시행하는 등 각종 한계

시민들 "실효적·근본적 대책 필요하다"

부산지역 주말까지 대기상태 '나쁨'…건강관리 주의

부산CBS 송호재 기자

노컷뉴스

22일 부산지역에 첫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실행됐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2일 부산지역에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처음 발령됐지만, 실효성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부산지역은 주말까지 대기상태가 나쁨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건강 관리에 쥬의가 요구된다.

이날 오후 수영구의 한 주택재개발 공사 현장. 철거작업이 한창이어야 할 현장에는 소음 대신 적막이 흘렀다.

굴삭기 등 중장비는 모두 멈춰있었고, 인부들의 모습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발효되면서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철거작업을 전면 중단한 모습이다.

부산시는 이날 처음으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실행했다.

108개 관급공사 현장과 255개 민간 공사장 등 대형 작업 현장은 의무적으로 작업을 단축했다.

또 공공기관은 차량 2부제를 의무 시행해 홀수차량은 운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살수차량 등 장비 76대를 동원해 도심을 중심으로 먼지를 제거하는 작업도 벌여다.

하지만 시민들은 이같은 대책에도 미세먼지가 줄어드는 효과는 거의 느낄 수 없다며, 보다 실효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안재술(62)씨는 "오늘 미세먼지가 심해 마스크를 쓰고 나왔다. 부산시가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펼친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체감할 수 있는 효과는 거의 없다"며 "시민 건강을 위해 실효성 있는 대책과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나왔으며 좋겠다"고 말했다.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역시 부산시의 이날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사실상 '무대책'이라고 비판하며 보다 적극적이고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경실련 안일규 팀장은 "차량 2부제가 민간에 적용되지 않고 공공부문에 그친 점, 배출가스 등급이 높은 차량에 대한 단속 실효성 등에서 부산시의 저감 정책은 큰 효과를 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 시행하는 대책들이 관련법에 나와있는 기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어, 광역·기초단체 차원의 자체 사업을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지역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36㎍/㎥까지 올라 '나쁨'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사상 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62㎍/㎥까지 치솟는 등 서부산권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져 주의보가 발효됐다.

대기가 정체되면서 주말인 23일까지 서부산권 등 일부 지역에는 미세먼지 농도 '나쁨' 수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은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노약자나 호흡기·심혈관 환자는 외출을 삼가고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실외수업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며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운동 등 격한 실외활동을 자제하는 등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