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미쓰비시 강제징용 피해자 심선애 할머니 별세(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여년간 투병 생활 중에도 2차 소송 참여…발인 23일

연합뉴스

고인이 된 심선애 할머니
천정인 촬영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전범 기업인 미쓰비시로 강제징용된 피해 당사자 심선애 할머니가 별세했다. 향년 88세.

22일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따르면 심 할머니는 전날 오후 6시 20분께 세상을 떠났다.

빈소는 광주 기독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으며 발인은 23일이다.

심 할머니는 1930년 광주 북구에서 3남 6녀 중 둘째로 태어나 1944년 광주 수창초등학교(당시 북정공립국민학교)를 졸업했다.

그 해 "일본에 가면 돈도 벌고 공부도 할 수 있다"는 말에 속아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항공기제작소에 동원됐다.

심 할머니는 그곳에서 비행기 부속을 매끈하게 다듬는 일을 맡았다.

심 할머니는 "일도 서툰 데다 할당된 작업량을 맞추기도 바쁜데 감시까지 심해 어린 우리들이 감당하기에는 무척 힘들었다"고 당시를 회상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후 심 할머니는 1945년 도야마 미쓰비시 공장으로 옮겨졌다.

배고픔을 잊기 위해 익지도 않은 '땡감'을 주워 먹거나 들판에 나가 꽃을 뜯어먹는 등 갖은 고생을 하다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왔다.

20여년 간 파킨슨병으로 투병 생활을 한 심 할머니는 2014년 다른 피해자 3명과 함께 미쓰비시를 상대로 한 국내 2차 손해배상 소송에 참여했다.

이 사건 심리를 맡은 1·2심 재판부는 심 할머니에게 1억원을 배상하라는 승소판결을 내렸지만, 미쓰비시 측이 상고해 대법원 확정판결을 남겨두고 있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사람들의 모임 관계자는 "너무 다정하고 고운 분이었는데 좋은 결과를 보지 못하고 이렇게 또 우리 곁을 떠나버리셨다"며 안타까워했다.

한편 시민모임이 파악하고 있는 근로정신대를 포함한 강제징용 피해 생존자는 지난해 2월 말 기준 5천245명으로 광주 121명, 전남 544명이다.

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