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어요, 혹시 나도 ‘건강염려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일 계속되는 미세먼지의 공격과 각종 스트레스, 화학 물질 등으로 건강을 염려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걱정과 불안은 ‘건강염려증’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염려증은 사소한 신체 변화나 증상만으로 신체에 질병이 발생했다고 믿는 심리적 장애다. 주로 인터넷이나 지인, TV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걱정이 되어 병원을 방문하지만, 검사 결과 이상이 없어도 이를 믿지 못하고 여러 진료과와 병원을 전전한다.

하이닥

20~30대 환자가 20%, 젊은 환자도 많아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병원에서 ‘건강염려증’을 진단받은 사람은 3,817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21%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가 19%, 40대가 18%를 차지하며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는 11%, 30대는 9%를 차지할 만큼 젊은 연령층에서도 건강에 대한 염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진 교수는 “건강염려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몸이 조금만 불편해도 이를 지나칠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신체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대해 매우 예민한 특징이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소화가 조금만 잘 안 되어도 위장이 꼬이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이를 위암으로 의심하는 것이다.

또 사회학습모델에 따르면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나 병을 통해 책임과 의무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환자 역할’을 하려 할 때, 상실이나 좌절로 인한 무의식적 분노를 신체 증상으로 표현할 때 건강염려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몸이 보내는 감각에 너무 예민할 필요 없어

건강염려증의 진단은 신체적 증상이나 감각을 잘못 해석해 자신의 몸에 심각한 병이 있다고 믿고, 이를 지속해서 염려하며 불안해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와 내과적, 신경 과적 검사 결과 신체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신체 증상에 집착하여 걱정하느라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는 상황에 해당한다. 또 이러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이 있으면 질병으로 분류한다.

신진 교수는 “건강염려증은 개인이나 집단 상담 등을 통해 과도하게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심리적 성향을 치료하는 것만으로도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며 우울함이나 불안 증세가 동반된 경우에는 건강염려증이 악화할 수 있어 약물치료를 함께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윤새롬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ysr0112@mcircle.biz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
저작권ⓒ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닥 공식 SNS - 페이스북 / 네이버포스트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