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남북 12㎞ ‘허파’가 울산 지킨다… 공단 완충녹지, 축구장 61개 크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30년까지 4193억 투입, 축구장 150개로 늘려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산 국가산업단지 주변의 완충녹지가 미세먼지 저감에 적잖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울산에는 현재 남구 상개동 덕하검문소 앞, 야음동 변전소사거리 주변, 여천동 7호광장 주변, 북구 명촌동 일원에 완충녹지(도시숲)가 조성돼 있다. 지난 1970년 울산미포국가산단과 접한 동해남부선철도주변을 중심으로 완충녹지가 지정된 이후 1997년 북구 명촌동 일원 시유지내 수목 식재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까지 1,456억원이 투입됐다. 현재는 축구장 61개 크기에 달하는 약 66.4㏊의 면적에 소나무, 편백, 이팝나무 등 90여종 34만여 그루가 식재돼 있다.

울산시는 완충녹지 조성 기준 평균 20년생 1그루당 17.9g/년, 평균 1㏊당 1,300본으로 환산했을 때 울산의 완충녹지(66.5ha)는 연간 1,536㎏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연간 경유차 903대가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맞먹는 수치다.

시는 완충녹지의 오염물질 차단효과를 높이기 위해 활엽수와 상록수 침엽수가 함께 자랄 수 있도록 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시가지 비산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차폐 효과가 뛰어나도록 교목, 아교목, 관목 등 다층림으로 조성해 지속 관리하고 있다. 미세먼지 차단 효과 외에 참나무류 및 광나무 등 동물의 먹이가 되는 열매 식물이 자라고 있어 조류, 포유류, 양서ㆍ파충류 등 다양한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는 도시 생물자원의 보고로도 변신하고 있다. 특히 북구 명촌동 주변의 숲속은 참새, 박새, 떼까마귀 등 다양한 새들이 관찰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국가산업단지 완충녹지는 현재 국가산업단지와 주거지역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도심 생태네트워크로 조성됐다” 며 “도심외곽과 도심내부의 녹지를 연결하는 생물이동통로, 바람길,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허파와 같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조성, 관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의 국가산단 주변 완충녹지 조성사업은 총 4,193억의 사업비를 투입해 남구 상개동에서 북구 연암동에 이르는 길이 11.8㎞, 폭 20~50m, 면적 162.5㏊(축구장 150개)크기로, 1997년부터 2030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김창배 기자 kimcb@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