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독일도 美 뒤통수 치나...中 화웨이 사용 계획 밝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국·뉴질랜드에 이어 독일도 '반(反)화웨이 전선' 이탈 움직임

아주경제

성조기·EU旗 위의 '화웨이' (워싱턴DC 로이터=연합뉴스) 3차원(3D) 기기로 프린트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로고가 미국 성조기와 유럽연합(EU) 기 위에 겹쳐진 모습.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일 의회 국정 연설에서 미래의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포함한 기간시설 패키지를 위해 의회와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관리들이 화웨이와 같은 중국 업체들의 통신장비 지배로 서방에 경쟁력이 있는 업체가 사라지는 것을 크게 우려해, 한국·일본의 잠재적인 공급업체 등을 지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bulls@yna.co.kr/2019-02-07 11:32:58/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 최대 통신기술업체 화웨이(華為) 이동통신 장비에 대한 보이콧에 균열 조짐이 짙어지고 있다. 영국과 뉴질랜드가 화웨이 퇴출이나 배제가 불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린 데 이어 독일도 차세대 이동통신 5G(5세대)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받을 기업 후보에서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겠다고 나섰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에 따르면 독일 연방내무부가 화웨이 장비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법을 고쳐서라도 화웨이 장비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무부 대변인은 이메일 성명을 통해 화웨이 장비 금지 계획이 없음을 내비쳤다. 그는 "새로운 잠재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특정 공급업체나 특정 제품의 배제를 법적으로 용인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신뢰할 수 없는 공급업체의 장비를 쓰더라도 보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보안 요구사항이 별도로 필요하면 독일의 통신법에 추가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관련 연방정부 부처 간에 구체적인 조정이 현재 논의되고 있지만 수정된 사항은 아직 없다고 내무부 대변인이 밝혔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국가 보안과 안보 위험성 등 이유로 화웨이 장비에 대한 정부 조달을 금지하고, 영국·호주·뉴질랜드 등 동맹국에 화웨이 장비 사용 자제를 촉구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 정부의 '화웨이 때리기' 움직임에 급제동이 걸린 모양새다. 독일에 앞서 영국이 화웨이 장비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데 이어 그간 화웨이 보이콧에 동참했던 뉴질랜드도 '반(反)화웨이 전선' 이탈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민감한 정보를 공유하는 '파이브 아이즈(Five Eyes·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일원인 영국·뉴질랜드에 이어 독일까지 화웨이 수용 분위기가 확산돼 화웨이 미국의 화웨이 때리기가 차질을 빚게 됐다.

최예지 기자 ruizhi@ajunews.com

최예지 ruizh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