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충북 주택시장 불안정 원인은…현실 무시한 '신규주택 공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충북, ‘충북지역 주택시장 동향’ 분석 결과 드러나

인구 유입‧자가 매입 수요는 '감소' 공급은 '홍수'…수급 불균형

뉴스1

충북 청주시 전경.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주=뉴스1) 이정현 기자 = 충북지역 주택시장 불안정에 의한 집값 하락 등의 부작용이 잇따르고 있는 원인은 현실을 무시한 대규모 신규주택 공급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16년 이후 인구유입과 거주자의 매입 수요는 둔화된 반면 열악한 정주여건에도 신규 개발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신규주택 공급이 초과공급 현상으로 심화됐다는 주장이다.

18일 한국은행 충북지역본부가 발표한 ‘충북지역 주택시장 동향 및 여건점검’자료에 따르면 도내 자가 거주 비중은 지난 2014~2015년 신규 아파트 분양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14년 61.3%에서 2017년 66.1%(+4.8%p, 전국 3번째)로 전국 수준(57.7%)을 크게 상회했다.

하지만 2016년 이후 충북의 주택거래량은 곤두박질쳤다.

2015년 4만300호이던 주택거래량은 2016년 3만2600호, 2017년 2만9700호, 2018년 2만4800호로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은 인구유입 둔화와 자가 매입 수요 충족에 따른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2010년대 초반 기업 이전 효과에 힘입어 대폭 증가했던 충북 인구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2012년 7월) 이후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다.

수도권 규제와 충북도의 기업유치 노력 등으로 수도권 순전입이 이어지고 있지만, 2014년 이후 세종시로의 순전출은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뉴스1

지난 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은행 외벽에 대출상품을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NH농협, KEB하나, 신한, 우리 등 주요은행의 1월 말 가계대출 증가폭은 지난 2017년 3월(3천401억원)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9.2.6/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원인으로 자가 매입 수요 충족 영향이 꼽힌다.

실거주목적의 주택 매매 의사를 가진 이들은 이미 신규아파트 분양 붐이 일던 2014~2015년 대부분 주택을 샀단 얘기다.

실제 충북의 주택보급률은 2017년 현재 111.4%로, 전국수준(103.3%)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는 전국 시도 중 경북(114.7%), 세종(111.4%)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충북거주자의 아파트 거래량을 봐도 2015년 1만5100호에서 2016년 1만3000호, 2017년 1만1900호, 2018년 1만400호로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규개발지역에 대한 대규모 신규주택 공급이 초과공급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2014~2018년 중 주택준공 실적(월평균)을 지난 2011~2013년 중과 비교하면 충북은 98.2%증가했다. 이는 전국 수준(+40.7%)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반면 재건축 등에 따른 주택멸실량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전국 타 시도와 달리 충북은 2010년 이후 매년 비슷한 수준(약 2600호)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구조는 미분양 적체를 심화시키는 한 원인이다.

공급량 대비 소진되거나 사라지는 물량이 많지 않다보니 시장에 매물이 쌓이는 적체 현상을 불러왔다.

실제 2015년 11월 이후 급증한 충북의 미분양 주택은 2018년 11월 현재 4707호나 된다. 이 중 공사가 완료됐음에도 분양되지 않은 이른바 악성 미분양(준공후 미분양주택)도 1494호에 달한다.

한은 충북본부 정준우 기획조사팀 과장은 “주택공급관련 정책은 중장기 주택수요 요인을 반영해야 한다”며 “개발방식에 있어서도 지역 주민의 신규주택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택지개발 외에 노후화된 원도심 주택에 대한 재개발‧재건축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cooldog72@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