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사설] 부산 스마트시티, 혁신성장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스마트시티를 새로운 혁신성장 플랫폼으로 육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어제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혁신전략 보고회'에서 나온 얘기인데 듣던 중 반가운 소리다. 문 대통령은 "스마트시티는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형 도시이자 대한민국 혁신성장 플랫폼"이라며 "세계 각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시범단지를 만든 것은 우리가 세계 최초"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정부의 목표와 의지는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스마트시티는 지난해 열린 '매경 원아시아 포럼'에서도 청사진이 제시된 바 있다. 국가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에코델타시티를 비롯해 해운대 센텀, 북항, 영도 등 권역별로 특화된 스마트시티를 조성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자율주행, 가상현실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구현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어제 문 대통령이 묘사한 대로 "사람을 위해 기술이 살아 움직이는 도시로 지금까지 제각각이었던 교통과 치안, 재난 방지, 행정, 의료, 돌봄 서비스가 유기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결되는 곳"이 바로 스마트시티다. 기존 도시와는 차원이 다른 미래 도시인 것이다.

전 세계는 이미 스마트시티 개발 경쟁에 돌입했다. 중국과 인도, 싱가포르 등 150개가 넘는 국가가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막대한 투자에 들어갔고, 구글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도 스마트시티 개발 경쟁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스마트시티가 도시 경쟁력과 국민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저성장을 극복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혁신성장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스마트시티 경쟁에서 우리가 주도권을 잡으려면 시범지역을 결정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스마트시티에 적용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환경 마련이 더 중요하다. 신산업에 대한 규제 문턱을 과감하게 낮춰 마음껏 혁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난달 실행에 들어간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기업과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일에도 신경 써야 한다. 그래야 스마트시티 조성 과정에서 생기는 갈등을 최소화하며 사업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