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나주 SRF열병합 가동 놓고 주민 수용성 조사하기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투표 또는 여론조사 방식 검토, 조사 범위 등 추후 논의

연합뉴스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한국지역난방공사 제공]



(나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전남 나주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 가동을 놓고 주민투표나 또는 여론조사 방식의 수용성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발전소 연료 교체로 예상되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손실비용은 주민 범대위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민관 협력 거버넌스는 13일 나주에 있는 한국난방공사 광주 전남지사에서 3차 회의를 열고 발전소 가동에 대한 주민 수용성 조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주민 수용성 조사는 그동안 나주시의 반대로 받아들여 지지 않았으나 나주시가 거버넌스의 결정에 따르기로 입장을 바꿨다.

수용성 조사를 하기로 했지만, 참여 범위와 방식 등에 대해서는 이날 결정하지 못하고 다음 회의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조사 방식으로는 주민투표나 여론조사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조사 대상 범위인 발전소 인근 나주 혁신도시 주민들만 대상으로 할 것인지 발전소 가동과 관련이 있는 화순이나 광주까지 대상을 넓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린다.

또 수용성 조사 선택 대상으로 논의됐던 ▲ 광주 전남 SRF 사용 ▲ 전남 전량 광주 일부 SRF 가동 ▲ 전남권 SRF만 가동 ▲ SRF 폐쇄 및 LNG 가동 등의 안도 수용성 조사에 반영할 것인지도 결정하지 못했다.

특히 발전소 연료를 SRF에서 LNG로 바꿀 경우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산정한 손실비용 등에 대해 주민 범대위 측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범대위는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내놓은 비용 산정안을 공신력 있는 제3자가 검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거버넌스 관계자는 "아직 접점을 찾지는 못했지만, 절충점을 찾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조금씩 이견을 좁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나주 SRF 열병합발전시설은 나주 혁신도시 아파트와 공공기관 및 건물 등에 온수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2017년 9월 준공됐다.

전남의 3개 권역인 목포·신안권, 순천·구례권, 나주·화순권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쓰레기를 연료로 활용해 발전시설을 가동한다.

하지만 준공 이후 시험가동 중 광주에서 발생한 생활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주민들이 발전소 가동을 반대하고 나섰다.

범대위 등 지역주민들은 타 지역에서 발생한 쓰레기 반입에 반대한다는 집단민원을 제기해 현재까지 발전소 가동을 중지한 상태다.

이 과정에서 범대위와 주민들은 주민 수용성 조사와 함께 아예 발전소 사용 연료를 LNG로 바꿔 달라고 요구하면서 이 부분이 갈등의 핵심쟁점이 됐다.

bett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