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최저임금 인상 반대한 죄?...정부행사 초청 못받는 편의점가맹점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의점주들의 목소리가 정부에 닿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편의점주 단체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시각차를 보이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 반대 측의 의견은 정책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12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이하 전편협)은 지난해부터 각종 정부·국회·서울시 행사에서 소외되고 있다. 전편협의 회원 수는 3만명으로, 편의점주들이 속한 가장 큰 단체다. 2013년 임의단체로 출범한 뒤, 지난해 4월 중소벤처기업부의 법인설립 허가를 받아 비영리사단법인으로 전환했다.

조선비즈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전편협)은 지난해 8월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최저임금 제도개선 촉구 국민대회’ 집회에 참여한 바 있다./ 조선DB



하지만 전편협은 최근 열린 제로페이 행사와 자영업 성장 종합대책, 편의점 자율협약(담배 거리 제한) 의견수렴 등에 참가하지 못했다. 정부는 각종 행사에 전편협 대신 50여명의 편의점 가맹점주가 속해있는 ‘편의점살리기전국네트워크’를 초청했다. 상황이 이렇자 전편협이 최저임금 제도와 주휴수당 등을 개선해달라고 주장해 홀대받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편의점살리기전국네트워크는 지난해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이하 한상총련) 소속 편의점주들이 따로 나와 만든 단체다. 한상총련은 인태연 청와대 자영업 비서관이 임명 전 만든 단체다. 두 단체 모두 최저임금 인상을 지지하고 있다.

양 측의 의견이 갈리는 것은 최저임금 인상뿐만이 아니다. 한상총련과 편의점네트워크 등은 지난해 11월 카드수수료가 인하되자 ‘대통령님, 감사합니다’는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반면 전편협 측은 당시 "카드수수료 인하보다 중요한 것은 담뱃세를 매출에서 제외하는 것인데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편의점주 다수가 모인 단체가 지속해서 의견수렴에 소외될 경우, 소비자들에게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편협 관계자는 지난달 29일 있었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제로페이를 가장 많이 쓰고 보급할 수 있는 곳이 편의점인데 내용이 공유되지 않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며 "향후 정책에는 편의점주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소영 기자(seenr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