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조선일보 출신’ 서청원 “5·18 광주 열흘 취재···북한군 개입설 사과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무소속 서청원 의원.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청원 의원(76·무소속)이 11일 자유한국당 김진태·이종명 의원이 ‘5·18 북한군 개입설’을 주제로 공청회를 연 것을 두고 “국민 앞에 간곡하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기자로서 취재 현장에 간 경험을 들어 북한군 개입 주장을 두고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서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공청회 문제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안타깝고 불필요한 논쟁으로 국론까지 분열시켜야 되겠는가. 한마디로 5·18은 숭고한 민주화 운동”이라며 “객관적인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일부 의원들이 보수논객의 왜곡된 주장에 휩쓸렸다. 이 기회에 생각을 바로잡고 국민 앞에 간곡하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5·18 당시 조선일보 기자로서 광주를 취재한 경험을 들어 “광주민주화운동은 신군부에 반대해 항거하던 학생들을 신군부가 군화발로 짓밟고 곤봉으로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이를 말리던 시민들까지도 무참하게 짓밟아서 생긴 민주화 운동”이라면서 “사실을 왜곡하고 신군부를 옹호하는 잘못된 보도로 인해서 문화방송과 KBS 등이 불에 타는 일도 있었지만, 군인들이 철수한 후 6일간의 무정부나 다름없는 상황에서도 광주 한복판 금남로에서 금은방 하나 털리지 않았다. 도청의 문서 하나도 훼손된 것이 없었다”고 했다.

서 의원은 “분명한 역사적 진실이 있고, 현장을 직접 본 사람이 있는데 민주화 운동을 종북좌파의 문제로 왜곡해서 거론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잘못”이라며 “숭고한 광주 민주화 운동을 폄훼하는 어리석은 행동이나 소모적인 정치쟁점이 되서 국론을 분열시키는 불행한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북한군 개입설에 대해선 “광주에 특파돼 9박10일간 생생하게 현장을 취재했다. 현장을 직접 취재한 기자로서 600명의 북한군이 와서 광주시민을 부추겼다는 것은 찾아볼 수 없었고,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며 “그 많은 인원이 육로로 왔단 말인가, 해상으로 왔겠는가. 그런 일을 여태까지 모르고 있었겠는가.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이어 “1988년 5공 비리 진상규명 청문회에서 5·18 민주화 운동의 진실이 낱낱이 밝혀졌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문민정부 시절인 1995년‘5·18 광주민주화운동특별법’이 제정됐고, 1996년 두 전직 대통령을 비롯한 당시 책임자들이 내란음모죄로 법적인 처벌을 받았다”며 “이미 역사적, 사법적 평가가 끝난 상황에서 불필요한 논란을 다시 일으키고, 이것이 정치쟁점화 되는 데 대해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허남설 기자 nsheo@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