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김무성 “5·18 북한군 개입은 억지주장, 결자해지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자유한국당 김무성 의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 김무성 의원이 11일 ‘5·18 북한군 개입설’ 공청회를 열어 ‘망언 논란’에 휩싸인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을 두고 “결자해지의 자세로 국민의 마음을 풀어줄 것을 강력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지금 일부 인사는 39년 전 일어난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전혀 근거도 없는 ‘북한군 600명 침투설’을 퍼뜨리고 있다. 황당무계한 주장을 입증하는 어떤 증거도 갖고 있지 못하면서 국민을 분열시키고 우리 사회를 멍들게 하고 있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5·18 민주화운동은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상징하며 역사적 평가와 기록이 완성된 진실”이라며 “북한군 침투설이 사실이라면 법정에서 역사적 단죄를 당한 신군부 세력들이 적극 반박하고 나섰거나 군 차원에서 적극 대응에 나섰겠지만, 지금까지 그러한 일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북한군 침투설을 계속 제기하는 것은 이 땅의 민주화 세력과 보수 애국세력을 조롱거리고 만들고 안보를 책임지고 있는 우리 국군을 크게 모독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역사적 평가가 끝난 5·18을 부정하는 것은 의견 표출이 아니라 역사 왜곡이자 금도를 넘어서는 것”이라며 “이런 차원에서 한국당 일부 의원의 5·18 민주화운동에 관한 발언은 크게 잘못됐다. 한국당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가치에 전혀 부합하지 않으며 역사의 진실을 외면한 억지주장”이라고 했다.

또 고 김영삼 전 대통령과 문민정부가 5·18에서 뿌리를 찾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김 전 대통령은 5·18을 널리 알리고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해 1983년 5·18 3주년을 시점으로 23일 간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전개한 바 있다. 1984년 5·18 4주년을 맞춰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결성했고 저도 여기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입문했다”면서 “국민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헌법 개정이 이뤄지고 민주화가 완성됐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1993년 문민정부는 5·18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부라고 선언했다. 5·18 민주묘역을 조성해 나중에 국립묘지로 승격되도록 했다. 특별법을 제정해 신군부 세력에게 광주 유혈진압의 죄를 물으면서 과거사를 정리하고 5·18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면서 “일부 의원들의 발언은 ‘정의와 진실’을 위한 한국당의 역사와 여러 가지 노력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허남설 기자 nsheo@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