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KAIST, ‘사람 뇌 닮은 반도체칩’ 시냅스 구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멤리스터 소자 활용…인간 뇌 모사한 뉴로모픽 칩 상용화에 기여]

머니투데이

플라스틱 기판 위에 제작된 유연 멤리스터 시냅스 소자 모식도/자료=KA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이스트(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성율 교수 연구팀이 멤리스터 소자의 구동 방식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화해 뉴로모픽칩(인간 뇌를 모사한 인공지능(AI) 컴퓨팅칩)의 시냅스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뉴로모픽 칩은 기존의 반도체 칩이 갖는 전력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합할 수 있어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는다.

멤리스터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메모리와 프로세스가 통합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뉴로모픽 칩 내부에 물리적 인공신경망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크로스바 어레이(crossbar array) 제작에 최적인 소자로 알려져 있다.

물리적 인공신경망은 뉴런 회로와 이들의 연결부인 시냅스 소자로 구성되는 데 뉴로모픽 칩 기반의 AI 연산을 수행할 때 각 시냅스 소자에서는 뉴런 간의 연결 강도를 나타내는 전도도 가중치가 아날로그 데이터로 저장 및 갱신돼야 한다.

그러나 기존 멤리스터들은 대부분 비휘발성 메모리 구현에 적합한 디지털의 특성을 가져 아날로그 방식의 구동에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 시냅스 소자로 응용하기 어려웠다.

최 교수 연구팀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분자 소재 기반의 유연 멤리스터를 제작하면서 소자 내부에 형성되는 전도성 금속 필라멘트 크기를 금속 원자 수준으로 얇게 조절하면 멤리스터의 동작이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이용해 멤리스터의 전도도 가중치를 연속적·선형적으로 갱신할 수 있고 구부림 등의 기계적 변형 상태에서도 정상 동작하는 유연 멤리스터 시냅스 소자를 구현했다.

연구진은 유연 멤리스터 시냅스로 구성된 인공신경망은 학습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효과적으로 인식해 분류할 수 있고 손상된 얼굴 이미지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 얼굴, 숫자, 사물 등의 인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연 뉴로모픽 칩 개발의 가능성도 확보했다.

머니투데이

최성율 교수/사진=KA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 교수는 “멤리스터 소자의 구동 방식이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화되는 주요 원리를 밝힘으로써 다양한 멤리스터 소자들을 디지털 메모리 또는 시냅스 소자로 응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고성능 뉴로모픽 칩 개발의 가속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장병철 박사(현 삼성전자 연구원), 김성규 박사(현 노스웨스턴대학), 양상윤 연구교수가 공동 1 저자로 참여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KAIST 임성갑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 레터스’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류준영 기자 jo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