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세월호 유족 '시체장사' 망언 한 김순례 "5·18 유공자는 세금 축내는 괴물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김순례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사진)이 "저희(자유한국당)가 방심해 정권을 놓친 사이 종북좌파들이 판을 치며 '5·18 유공자'라는 이상한 괴물집단을 만들어 내 우리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원내대변인은 앞서도 세월호 유족을 겨냥해 '시체장사를 한다'고 망언을 해 논란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약사 출신인 그는 2016년 20대 총선에서 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은 비례대표 초선 국회의원이다.

지난 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당 김진태·이종명 의원이 공동 주최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북한군 개입 여부를 중심으로' 제목의 토론회에서 축사를 위해 연단에 오른 김 원내 대변인은 5.18 유공자들을 두고 '세금을 축내는 괴물'로 묘사했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국민의 피땀 어린 혈세를 이용해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는 유공자를 색출해야 한다"며 "우리가 반드시 5·18의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5·18 진실을 규명하고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역사적 진실을 파헤치기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보수우파의 가치를 지키는 의원들이 많이 노력하지 않고 게을렀다"고도 했다.

이 자리를 함께한 한국당 이종명, 백승주, 이완영 의원 등도 5·18 당시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동조하는 발언을 하며 목소리를 더했다.

세계일보

앞서 김 원내대변인은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막말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경기 성남에서 '수약국'을 운영했던 그는 대한여약사회 부회장 시절인 2015년 4월28일 전국 16개 시·도 약사회와 세계 약사연맹 참가자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시체장사’, ‘거지 근성’ 등 세월호 유가족을 비하하는 표현이 담긴 글을 유포했다.

당시 성남 시민들은 김 원내대변인에 대한 항의 시위를 지속했고, 약사회는 이 같은 여론을 받아들여 자체 조사를 거쳐 부회장 직무를 3개월간 정지시키는 내용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한편 김 원내대변인이 지적한 5·18 유공자 보상은 1980년 광주에서 일어난 인권 유린 등에 대해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 90년 8월6일 제정되면서 실시됐다. 2008년 개정된 '5·18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로 현재도 보상이 시행 중이다.

국가보훈처 웹사이트에 따르면 5·18 유공자와 그 가족은 법에 명시된 바에 따라 교육과 취업, 의료, 금융 대부, 수송시설 이용료 할인, 양로 등에서 지원을 받고 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5·18 국가유공자 수는 4403명이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연합뉴스·JTBC 뉴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