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버닝썬 사태

여전한 성매매·유흥업소 '뒷돈'…버닝썬-경찰 유착 의혹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버닝썬 폭행 사건'으로 경찰 신뢰 도마 위

최근 5년간 서울 강남권 유착비리 경찰관 11명

'제2의 이경백 사건' 우려도

"조직 특성 상 경착 조직 폐쇄적…내부 고발 제도 강화해야"

이데일리

버닝썬 폭행사건 폐쇄회로(CC)TV 영상 (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서울 강남구 ‘버닝썬’ 클럽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이 경찰과 클럽 간의 유착 의혹으로까지 번지면서 경찰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들끓고 있다. 특히 최근까지도 유흥업소 간의 유착 비리로 징계를 받는 경찰이 다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이 같은 의혹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 내부 조직 문화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버닝썬 폭행 사건’으로 도마에 오른 경찰 신뢰

7일 서울지방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부 소속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유흥·불법업소 등 단속무마 상납 관련 징계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서울 강남권 경찰 11명이 성매매나 유흥 업소로부터 뒷돈을 받아 징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경찰서 소속의 한 경찰관은 단속 무마의 대가로 유흥업소로부터 4000만원 이상의 금품을 받았고, 강남경찰서 소속 경찰관 3명도 징계를 받았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버닝썬 폭행 사건으로 불거진 경찰과 클럽 간 유착 의혹에 기름을 붓는 모양새다. 지난해 11월 서울 강남구 클럽 버닝썬 발생한 폭행 사건의 경찰 대응이 부적절했다는 논란이 일면서 국민적 관심을 받은 이 사건은 클럽과 경찰 간의 유착 의혹으로까지 번졌다.

이에 대해 경찰은 전담 수사팀까지 꾸려 해당 사건의 경찰 대응과 유착 관계 등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나서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달 30일 광역수사대를 투입해 전담 수사팀으로 지정하고 집중적인 내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버닝썬 사건을 통해 경찰은 보는 시민의 반응은 싸늘하다. 회사원 김정해(27·여)씨는 “버닝썬 사건을 보면서 클럽 같은 곳에서 험한 일을 당해도 경찰이 내 편이 아닐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경찰도 믿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고가 나면 누구한테 도움을 구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부적절한 대응을 한 경찰관과 클럽 간의 유착 의혹을 조사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은 현재 27만여명의 동의를 받고 있다.

◇ 경찰 내부서도 ‘제2의 이경백 사건’ 우려…“내부고발제 강화해야”

경찰 내부에서는 ‘제2의 이경백 사건’으로 번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사건은 지난 2010년 ‘룸살롱 황제’로 불리는 이경백씨가 경찰들이 조직적으로 뇌물을 받았다는 진술을 하면서 불거진 사건이다. 당시 경찰관 18명이 구속되고 66명이 징계 및 감찰을 받은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버닝썬 클럽 유착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바라는 경찰 내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착 비리 해소를 위해선 경찰 내부 고발제도가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경찰 관계자는 “검경 수사권 조정 등을 앞두고 경찰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경찰의 유착 비리 의혹은 치명적”이라며 “서울청에서 철저한 수사로 비리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이경백 사건 터졌을 때도 경찰 내부에서도 터질 일이 터졌다는 반응이 컸다”며 “경찰에서 철저한 수사를 통해 책임을 물어서 유착 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수사기관인 경찰은 조직의 특성 상 내부의 일이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내부 비리도 잘 드러나지 않는다”며 “유착 비리에 대한 내부 수사나 처벌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내부에서 비리를 자발적으로 고발할 수 있는 조직 내 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유착 비리는 경찰관 한 명이 저지르기 어렵고 관련 부서도 연관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철저한 수사를 통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