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27·28일 베트남에서 김정은·트럼프 담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이달 말 시진핑과 회담”

남·북·미·중 정상 만날 가능성

비핵화·상응조치 동시 이행 접근

비건·김혁철 평양서 디테일 협상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미래를 결정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핵 담판이 이달 말 1박2일로 베트남에서 열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 의회 국정연설에서 “27일과 28일 베트남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날 것”이라며 “대담하고 새로운 외교의 일환으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역사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 할 일이 많이 남아 있지만 김 위원장과의 관계는 좋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에서 “우리 인질들은 집에 왔고 핵실험은 중단됐으며 15개월 동안 미사일 발사는 없었다”고 그간의 업적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할 일’을 언급한 건 지난해 6월 1차 북·미 정상회담의 한계 때문이다. 당시 북·미 관계 개선, 평화체제 구축, 완전한 비핵화, 미군유해 송환의 4개 항이 담긴 합의문을 내놨지만 이번엔 이보다 더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가 나와야 한다는 게 백악관의 속내다. 백악관은 이번엔 그간 철칙으로 내걸었던 ‘완전한 비핵화’를 뒤로 미루고, 비핵화와 대북 상응조치의 동시적·병행적 이행을 수용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당국자는 “미국과 북한의 고위급에선 북한의 비핵화 대 미국의 상응조치를 서로 진행한다는 큰 그림에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안다”며 “비핵화와 상응조치의 시퀀스(순서)를 어떻게 정하는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6일 평양에 도착해 김혁철 전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와의 실무협상에 착수했다. 이 당국자는 “평양 협상의 목표는 합의문 초안까지 마련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 이상을 내놓을지, 이에 맞춰 미국이 남북 협력을 대북제재 대상에서 제외하는 제재 완화 조치를 약속할지 등이 2차 정상회담의 관건이 됐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미가 싱가포르 공동성명 합의문을 통해 네 개의 기둥을 세웠다”며 “이제는 지붕인 이행 로드맵을 만들어 구체적인 초기 이행 조치까지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정연설에 앞서 방송사 앵커들과의 오찬에서 이달 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중 정상회담도 북·미 정상회담과 같은 기간에 열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를 놓고 미국, 중국, 북한에 이어 한국까지 4자가 참여해 종전선언과 평화체제를 논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단,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행에 대해 “북·미 사이에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달려 있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번에 평화협정까지 나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서울=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