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2월27~28일 베트남에서 트럼프-김정은 2차 정상회담 연다(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오상헌 , 뉴욕(미국)=이상배 특파원 기자] [the300] 트럼프 "김정은과 27~28일 베트남서 만날것"...美비건-北김혁철 '실무협상' 중대 분수령

머니투데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140여 분에 걸친 단독·확대정상회담과 업무오찬을 마친 뒤 북미정상회담 공동합의문에 서명 후 악수를 하고 있다.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린다.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회담 이후 8개월 반 만에 열리는 '2차 핵 담판'이다. 목표는 한반도 비핵화와 영구적 평화체제 구축이다.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보상 수준을 두고 두 정상이 세기의 수싸움을 벌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의회의사당에서 새해 상·하원 합동연설을 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오는 27일과 28일 이틀 동안 베트남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이 열리는 도시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날짜와 개최국을 공식 발표한 것이다. 2차 회담 개최지로는 베트남 중부의 휴양지 다낭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회담의 핵심 관건은 지난해 북미 정상이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와 새로운 북미 관계, 한반도 평화 정착 등 큰 틀의 원칙적 합의를 뛰어넘는 구체적·실질적 진전 방안의 도출 여부다. 현재로선 긍정적 징후가 여럿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김 위원장도 국내 정치 여건상 반드시 성과물을 도출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스캔들 등으로 궁지에 몰린 정치적 열세를 극복할 수 있는 돌파구가 필요하다. 북미 협상에서 실질적 성과물이 없다면 되레 정치적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시간에 쫓기기는 김 위원장도 마찬가지다. 북한은 지난해 4월 핵·경제 병진 노선을 포기하고 경제 총집중 노선을 채택했다. 비핵화의 반대급부로 대북 제재 해제와 경제적 보상을 반드시 받아내야 하는 상황이다.

북미가 예비 핵담판인 실무협상의 대표를 바꾸고, 판문점이 아닌 '평양 담판'을 기획한 것도 구체적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의 방증으로 읽힌다. 이날 방북한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협상의 전권을 부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 실무대표인 김혁철 전 주스페인 북한 대사는 김 위원장 직속의 국무위원회 소속 핵·군축 전략가다.

판문점이 아닌 '평양 회담'을 두고는 이례적이고 파격적이란 평가가 많다. 김 위원장의 의중이 즉각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협상에 속도가 붙고 가시적 성과가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실무협상을 평양에서 여는 것 자체가 북측의 기대와 절박함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상당히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했다.

남은 3주(21일)간 전개될 북미 실무협상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패를 가르는 중대 분수령이다. 실무협상에서 합의할 비핵화 수준과 상응 조치가 2차 회담 공동 합의문에 상당 부분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비건 대표는 △핵시설 폐기 △핵신고·검증 △핵·미사일 비축고 폐기로 이어지는 단계적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상에선 북한이 상응조치를 전제로 약속한 영변과 그 외 핵시설 폐기 등 비핵화 초기 단계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김 전 대사는 미국의 대북 제재 해제 등을 강하게 요구할 공산이 많다. 미국은 초기 단계의 상응 조치로 종전선언과 북미 연락사무소설치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상헌 , 뉴욕(미국)=이상배 특파원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