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英 식료품업계 "'노 딜' 브렉시트시 가격↑…유통기한도 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국 식료품 소비 3분의 1 EU서 수입…신선식품 의존도는 더 높아

정치권에 노딜 브렉시트 방지 촉구

연합뉴스

영국 대형마트 아스다와 세인스버리 간판 [AFP=연합뉴스]



(런던=연합뉴스) 박대한 특파원 = 영국 세인스버리와 웨이트로즈 등 대형마트와 맥도날드, KFC 등 패스트푸드 업계가 정치권에 '노 딜'(no deal) 브렉시트(Brexit) 방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영국이 유럽연합(EU)과 아무런 협정을 맺지 못하고 탈퇴하는 '노 딜' 브렉시트가 발생하면 식료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 신선식품 등의 유통기한에 문제가 생겨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28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 내 10개 식품유통업계 최고경영자(CEO)와 영국소매업컨소시엄(British Retail Consortium·BRC)은 이날 공동으로 하원에 보낸 서한에서 "'노 딜' 브렉시트에 따른 충격을 피하고 소비자들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시급히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는 특히 '노 딜' 브렉시트로 인한 영향을 자신들과 같은 식품유통업의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경험하게 될 것으로 우려했다.

이들은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우리 공급업자들과 긴밀히 협력해왔지만, 공급망에 가해지는 위험을 모두 완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노 딜'이 발생하면 단기적으로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영국에서 소비되는 식료품의 3분의 1가량은 EU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업계는 "특히 (브렉시트가 예정된) 3월은 영국 농산물이 제철이 아닌 시기"라며 "이때는 상추의 90%, 토마토의 80%, 작은 과일의 70%가 EU로부터 건너온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신선식품은 유통기한이 짧고 잘 상하는 만큼 농장에서부터 상점까지 최대한 신속한 수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냉동식품 등은 이미 가능한 만큼 비축했지만 신선식품은 적기 공급망 체계 때문에 이같은 방식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연합뉴스

영국 대형마트 내 진열된 신선식품 [AFP=연합뉴스]



업계는 아울러 '노 딜'로 인해 EU에서부터 수입되는 상품에 관세가 부과되면 비용 상승으로 인해 식료품 가격 역시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내놨다.

이날 공동서한에는 세인스버리와 웨이트로즈, 마크스앤스펜서, 아스다, 코옵, 코스트커터, 리들 등 7개 대형마트와 맥도날드, KFC, 프레타망제 등 3개 패스트푸드업체가 참여했다.

영국 최대 유통업체인 테스코와 독일계 체인인 알디는 참여하지 않았다.

pdhis9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