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팝인터뷰①]'극한직업' 공명 "내가 느낀 행복감 그대로 전달됐으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배우 공명/사진=민선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border=0 />

[헤럴드POP=이미지 기자] “새로운 모습보다 막내 형사 이미지에 충실했다”

배우그룹 서프라이즈 막내로 드라마 ‘화정’, ‘혼술남녀’, ‘하백의 신부 2017’, ‘죽어도 좋아’ 등을 통해 배우로서 힘차게 성장해나가고 있는 공명. 이번에는 영화 ‘극한직업’을 통해 첫 상업영화에 도전하게 됐다. 무엇보다 충무로 소위 잘 나가는 선배 배우들 사이에서도 제 몫을 다하며 존재감을 발휘해 기특하다.

최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헤럴드POP과의 인터뷰에서 공명은 곳곳에 붙어있는 포스터에 자신의 얼굴이 있다는 사실이 기쁘다면서 흥행을 떠나 행복한 작품으로 남을 것 같다며 ‘극한직업’에 대한 애정을 뽐냈다.

“처음 출연을 제안 받았을 때는 이렇게 큰 상업영화인지 실감을 못했다. 오랜만에 영화를 찍을 수 있는 데다, 형사 역할이 처음이라 재밌겠다는 생각뿐이었다. 물론 이병헌 감독님의 전작인 ‘스물’의 팬이었고, 다른 선배님들이 이미 캐스팅된 상태라 더할 나위 없이 기뻤다. 기대감도 컸다.”

헤럴드경제

영화 '극한직업' 스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명은 극중 마약반의 위험한 열정 ‘재훈’ 역을 맡았다. ‘재훈’은 실전경험 전무, 열정만 충만한 마약반의 막내 형사다. 공명은 특별한 어떤 걸 첨가하기보다 막내 형사 했을 때 떠오르는 이미지에 충실했다.

“막내 형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지 않나. 처음에는 어떻게 하면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 감독님께서 떠오르는 이미지 그대로 쉽게 연기해줬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 5명이 모였을 때도 내 캐릭터는 막내에 경력도 없다 보니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해 그대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코미디 장르라 특별한 상황들이 있으니 캐릭터가 코믹적으로 잘 나온 것 같다.”

특히 공명은 아주 짧은 헤어스타일로 외형적 변신을 감행했다. 캐릭터상 머리를 자르는 게 맞다고 판단, 의견을 제안한 가운데 이병헌 감독의 요청에 의해 영화 속 헤어스타일이 탄생했다.

“형사 역할을 맡은 만큼 머리를 조금 자르면 좋겠다고 말씀 드렸고, 감독님 역시 좋을 것 같다고 하셨다. 조금씩 자르면서 맞춰 나갔는데, 감독님께서 계속 더, 더, 더라고 요구하시더라. 그래서 지금의 빙구 같은 머리가 나왔다. 하하. ‘극한직업’ 이모티콘이 나왔는데, 친구들이 놀리더라. 그래도 지금의 헤어스타일 덕에 ‘재훈’이 있었던 것 같다.”

헤럴드경제

배우 공명/사진=민선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border=0 />

뿐만 아니라 공명은 ‘극한직업’을 위해 진선규와 함께 촬영 전 요리 아카데미를 다니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진선규 선배님과 둘이 요리를 하는 장면이 나와서 요리 트레이닝을 받으러 갔는데, 난 주방 보조이기 때문에 양파만 썰어야 했다. 한, 두 개 정도가 아닌 한 망을 썰다 보니 눈물이 계속 났다. 내가 연기를 할 때 눈물 연기를 못하는 거였지, 눈물샘이 마른 게 아니었구나 깨달았다. 양파가 정말 맵더라.”

‘극한직업’은 외피는 코미디를 내세웠지만, 액션에 있어서도 소홀하지 않았다. 공명 역시 실제로 태권도를 오래했기에 발차기 아이디어를 반영해 고퀄리티의 액션신이 완성됐다.

“‘극한직업’이 코미디 영화 같지만, 액션 영화일 수도 있다. 처음부터 액션 준비를 많이 했었다. 어렸을 때부터 운동을 너무 좋아하고, 태권도도 오래했다. 원래는 삼단봉 액션만 있었는데, 발차기를 하면 어떻겠냐고 말씀 드려서 발차기를 하게 됐다. 감독님이 열린 마인드에 선배님들께서 배려를 해주셔서 내가 하고 싶은 걸 다 해보며 재밌게 촬영했다.”

공명에게 ‘극한직업’은 관객수와 상관없이 행복한 작품으로 남을 것 같단다. 관객들 역시 자신의 행복감이 느껴질 수 있길 바란다고 바람을 드러냈다.

“강남 한복판에 걸린 전광판, 대중교통에 붙은 포스터에 내 얼굴이 있으니 기쁘더라. 내게 ‘극한직업’은 스코어와 상관없이 행복한 작품으로 남을 것 같다. 내가 행복하고, 즐겁게 촬영한 걸 관객들 역시 느끼면 좋겠다. 빵빵 웃을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 우리 영화를 통해 기분 좋게 한 해를 시작하길 바란다. (웃음)”

pop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