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3 (일)

“넘치는 서울 면세점 더 늘린다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신규설치 특허요건 대폭 완화 발표

시내면세점 13개 ‘2년만에 2배’…업계 우려

사상 최대매출은 中보따리상 덕 ‘속빈 강정’

중소·중견업체 ‘경쟁력 강화’ 지원정책 필요

헤럴드경제

지난달 20일 서울 중구 시내면세점 앞. 중국 보따리상들이 입장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에 시내면세점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신규 특허 요건을 대폭 완화하면서 면세업계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미 면세점 시장의 공급과잉 문제가 부각되는 상황에서 추가로 시내면세점을 늘리는 것은 무한경쟁만 부추긴다는 것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17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면세점 특허 기준 완화 등을 담은 ‘2019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신규 면세점의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춰 관광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대기업 면세점은 지방자치단체별 면세점 매출액이 전년보다 2000억원 이상 늘거나 지자체별 외국인 관광객이 전년보다 20만명 이상 늘면 신규 특허를 내줄 계획이다. 중소ㆍ중견기업 면세점은 상시 허가해줄 수 있도록 바꾼다. 정부는 국무회의를 거쳐 관세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내년 4~5월 면세점 제도운영위원회를 열어 지역별 추가 선정 면세점 수를 확정키로 했다.

이같은 방침에 면세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서울시내 면세점은 2015년 6개에서 현재 12개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여기에 중소ㆍ중견기업 면세점인 탑시티면세점 신촌역사점이 이달 말 추가로 문을 열면 서울 시내에서만 총 13개 면세점이 경쟁하게 된다.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이미 서울시내 면세점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며 “신규 면세점은 오픈 초기 시장 안착을 위해 송객 수수료(중국 보따리상 유치를 위해 여행사에 지급하는 리베이트)에 돈을 쏟아붓는 데 이 같은 출혈경쟁은 고스란히 면세업계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고 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신세계면세점이 서울시내에 처음으로 문을 열었을 때 경쟁이 심화되면서 송객 수수료가 일부 30~40%까지 치솟았다. 내년에 신규 사업자가 대거 진입할 경우 이 같은 경쟁이 또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선점을 위해 송객 수수료를 무리하게 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될까 우려된다”고 했다.

중소ㆍ중견기업 면세점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면세점은 대규모 자본력으로 버티고 있지만 중소ㆍ중견 면세점은 매출 기반이 취약하다”며 “당장 탑시티면세점만 봐도 개장 시기를 2년이나 미룰 정도로 매장을 운영할 여력이 없다”고 했다.

그는 “단순히 면세점 수를 늘리기보다 기존 면세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중소ㆍ중견 면세점을 위한 임대료 인하, 브랜드 유치 협약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다양한 상품 구색과 충분한 상품 재고를 갖출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다른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편 올 들어 국내 면세점 매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중국 보따리상들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속빈 강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면세점 매출은 14억3819만 달러(1조6223억원)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6% 증가했다.

올해 1∼9월 매출액도 129억1736만 달러로, 이미 사상 최고였던 작년 전체(128억348만 달러) 매출을 앞질렀다. 그러나 올해 송객 수수료로 1조2000억원 가량을 지불한 면세업계의 수익성은 개선되고 있지 않다.

박로명 기자/dod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