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日 고노 외상,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태도 변화…"한국 어려움 이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국제부 기자] 일본 기업에 일제 강제징용 배상 책임을 물은 우리 대법원의 판결로 불거졌던 한일 갈등 양상이 다소 차분해진 분위기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이례적인 반응을 내놓으면서 양국 관계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노 외상은 이번 사안과 관련, “한국 측 대응이 어렵다는 점은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재촉할 생각은 없지만, 일본 기업에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한국 측이 제대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NHK가 16일 보도했다.

지난 10월 말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로 한일 간 갈등이 고조된 이후, 일본 고위 인사가 이 같은 취지로 말한 것은 처음이다.

특히 고노 외상이 그간 “어떤 나라도 한국 정부와 일하기 어려울 것”, “폭거이자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이라는 등의 거친 말을 쏟아냈던 당사자였던 점을 고려하면 일본 측 기류가 일단은 누그러졌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이는 배상 판결 이후 시간이 다소 흐른 이유도 있지만, 일본이 판결에 대해 격앙된 반응을 보일 때마다 우리 정부가 신중한 대응을 촉구한 게 효과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일한의원연맹 대표단을 접견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 양 국민의 적대 감정을 자극하지 않도록 신중하고 절제된 표현이 필요하다”면서 “양국 간의 우호 정서를 해치는 것은 한일 미래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 것이 변화의 계기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당일 “이번 대법원 판결은 한일 기본협정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며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도 일본 측 기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부 기자 interdep@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