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시민은 여유, 기업은 혁신' 김해 스마트시티 조성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마트 역사문화도시·경제지원 스마트타운 조성…데이터 허브시스템도 구축

연합뉴스

'월드스마트시티 위크 2018' 참가한 김해시장
[김해시 제공]



(김해=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 경남 김해시가 시민은 여유롭고 기업은 혁신성장하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본격화한다.

스마트시티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두고 도시 관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여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소, 궁극적으로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김해시는 올해 방범, 방재,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 도시상황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시는 경남 최초로 스마트시티 중·장기 로드맵인 '스마트 도시계획'을 수립, 지난 10월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고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스마트시티 기반을 마련하는 데 공을 들여왔다.

시는 이 같은 기반 아래 내년부터 도시성장 단계별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한다.

신규 개발사업으로 율하 2지구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눈에 띈다. 율하 2지구 택지개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비 50억원을 전액 부담해 추진한다.

내년 9월까지 공공 와이파이(WiFi), 정보통신망 등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교통, 방범, 환경 분야에 다양한 ICT를 도입한다.

기존 도심은 '스마트 가야역사문화도시'로 가꾼다. 기존 도심 스마트화를 위해 동상동, 회현동, 내외동, 북부동 일원을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로 조성하는 것이다.

시는 기존 도심 스마트화를 위해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마스터플랜 수립 공모'에 도전, 지난 6월 선정됐다.

이에 따라 해반천과 경전철, 가야역사문화를 중심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스마트 역사문화도시를 추진한다.

연합뉴스

김해 스마트시티 시민참여단 위촉
[김해시 제공]



시는 40억원을 들여 관광객 이동 편의성을 향상하는 교통체계와 AR·VR 기반 스마트 박물관 등 체감형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발굴해 내년 상반기에 먼저 구축한다. 이어 스마트 역사문화도시를 2020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또 삼방동 일원에 경제지원 스마트타운을 조성한다.

이는 노후·쇠퇴도시에 스마트솔루션을 접목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주기 위한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사업'에 선정된 '주민·청년·대학이 소통하고 상생하는 어울림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의 하나로 추진한다.

시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사업비 300억원 중 스마트시티 분야에 50억원을 투입, 인제대 등 지역 대학과 연계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공부방을 운영한다.

공공 Wi-Fi망을 활용한 빅데이터 수집으로 독거노인 케어 서비스 등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인제대 스마트헬스케어 연구단과 연계해 각종 스마트헬스케어 기술개발과 서비스 실증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처리하고 연계하는 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시는 율하 2지구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시스템도 내년에 구축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시는 빅데이터 기반, 과학 행정을 구현하고 시민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성곤 시장은 ""스마트시티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축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라며 "각종 도시문제를 해소해 주거 여건을 최적화하고 경제적·시간적 여유를 시민들에게 돌려줘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940512@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