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압박 나선 심상정 “나경원, 16일까지 선거제 개혁 입장 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심상정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왼쪽)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선거제도개혁 촉구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그는 ’자유한국당은 주말까지 선거제 개혁에 대한 큰 기본원칙에 대한 입장을 제시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중앙포토,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13일 “그간 자유한국당의 일정으로 논의가 지체된 점을 감안하면 한국당은 주말까지 선거제 개혁의 큰 기본 원칙에 대한 입장을 제시해주실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심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선거제 개혁의 대 전제인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라는 원칙조차 끝내 합의되지 않아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국회에서 실려나가는 사태가 벌어지면 대한민국 국회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심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과 한국당에 “고령의 손학규 대표의 건강 상태를 고려할 때 다음주까지 단식이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바라고 있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라는 대원칙과 로드맵에 대한 큰 틀의 합의를 통해서 두 대표(손학규ㆍ정의당 이정미)가 단식을 풀고 다음주부터 정개특위 논의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했다. 이어 “나경원 원내대표가 당선 이틀밖에 되지 않았고 ‘의원들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뜻을 존중한다”면서도 “나 원내대표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부정적이라는 일부 보도를 봤다.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고도 언급했다.

심 위원장은 이어 “한국당의 노력과 입장을 물어보지도 않고, 4당 합의를 거론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한국당이 스스로 노력을 하지 않을 명분을 주는 것”이라며 “(나 원내대표가) 첫 번째 숙제로 로텐더홀 농성을 정리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역할을 해주실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선거제도가 권력구조와 관련이 있다는 데 대해서는 (나 원내대표의 말에) 동의한다”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논의 방법으로 선거제 선(先) 합의 후(後) 개헌 논의를 결정했다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손학규 바른미래당ㆍ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단식을 강행할 태세다. 이날 손 대표는 “제가 쓰러지기 전에 이 문제를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했고, 이 대표도 “5당이 합의할 수 있는 선거법 개정의 기본 방향이 마련될 때까지 저의 농성은 계속될 것”이라며 단식을 중단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내놨다.

야당 두 대표가 ‘결사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연동형비례대표제 등 선거제도 개혁 기본 방향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야당과 협상에 나섰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손 대표를 비롯해 야 3당이 한국당을 설득해서 합의하라는데, 아무튼 노력은 하겠다”며 “한국당과 합의 도출을 시도해보겠지만 만약 여의치 않으면 야 3당과 민주당만이라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정개특위를 가동해서 논의를 활성화하는 것이 지금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의 이러한 발언에는 야 3당의 요구에 대응하면서도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원인을 한국당으로 돌리려는 의도로 분석됐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