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공정위, 하림ㆍ대림그룹 총수 일가 檢고발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익편취 혐의…전원회의 상정 논의

헤럴드경제

[사진=헤럴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혐의로 하림그룹 김홍국(61) 회장, 대림그룹 이해욱(50) 부회장을 검찰에 고발하는 안을 전원회의에 상정해 결론 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 사무처는 최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김홍국 회장과 이해욱 부회장을 검찰에 고발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검찰의 공소장에 해당하는 ‘심사보고서’를 하림과 대림그룹에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림의 경우 공정위 사무처는 김홍국 회장이 6년 전 아들 김준영(26)씨에게 비상장 계열사 ‘올품’ 지분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부당지원 행위가 있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준영씨는 2012년 김 회장으로부터 올품 지분 100%를 물려받은 뒤 올품→한국썸벧→제일홀딩스→하림그룹으로 이어지는 지분을 통해 아버지보다 더 강력한 그룹 지배력을 확보했다.

이 시기에 올품과 한국썸벧의 매출은 연 700억∼800억원대에서 3000억∼4000억원대로 급성장했는데 이 과정에서 일감을 몰아줬고, 이러한 사익편취 행위에 김 회장이 관여한 것으로 공정위 사무처는 판단했다.

하림은 지난해 7월 현장조사를 받기도 했는데,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후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한 첫 대기업집단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대림그룹은 총수일가 지분이 50% 이상인 대림코퍼레이션과 에이플러스디, 켐텍 등에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주며 부당 지원한 혐의를 받는다. 대림그룹은 지난해 9월 이같은 혐의로 공정위의 현장조사를 받자 이듬해 1월 이해욱 부회장 등이 에이플러스디 지분을 처분하고 순환출자를 해소하는 등 경영쇄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심사보고서를 두 회사에 발송한 공정위는 소명이 담긴 의견서를 받은 뒤, 이르면 내년 초 9인 위원이 참여하는 전원회의를 열어 고발 여부와 과징금 규모 등 제재안을 각각 결정하게 된다.

공정위 사무처는 최근 잇따라 일감 몰아주기와 관련해 대기업 총수 일가에 대한 검찰 고발을 검토하며, 일각에서 “김 위원장의 재벌개혁 의지가 미흡한 것 아니냐”는 추측을 잠재우는 모습이다.

공정위 사무처는 지난달 같은 혐의로 태광그룹 이호진 회장과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을 검찰에 고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심사보고서를 각 회사에 발송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사익편취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아 제재가 임박한 다른 주요 대기업에 대해서도 총수 고발과 같은 강수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공정위는 이미 심사보고서를 발송한 4개 회사 이외에도 삼성ㆍSKㆍ한진ㆍ한화ㆍ아모레퍼시픽ㆍ미래에셋 등 총 6개 대기업집단의 사익편취 혐의를 조사 중이다.

이와 관련 공정위 관계자는 “개별 사건에 관해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igiza77@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