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밀착카메라] '길거리 장기판'에서 드러나는 노인 복지 실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서울 도심 길거리에서 노인들이 장기를 두는 모습,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길거리 장기'를 두고 갈등이 좀 있습니다. 오늘 밀착카메라는 길거리 장기판으로 드러나는 노인 복지의 실태입니다.

윤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종로 탑골공원 후문 앞입니다.

아침부터 노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더니 정오가 되자 곳곳에서 장기 대국들이 벌어집니다.

[심상태 씨/81세 : 인천서 왔어 인천. (지하철 타고 오셨어요?) 예. 자주 오죠.]

갈만한 곳을 찾지 못한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모 씨/73세 : 춥죠. 추운데 노인네들 뭐 갈 데가 별반 만만치 않으니까.]

길거리 장기에 쓰이는 의자와 장기판은 인근 한 자영업자가 무료로 제공한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 대국을 즐기기 쉽지 않습니다.

주변 노숙자나 쓰레기와 뒤엉키기도 하고, 구청 단속도 수시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거리에 쌓아둔 장기판은 불법 적치물에 해당됩니다.

[장기판 제공자/73세 : 수거하면 찾아오고 그래요 우리가. (쌓아두는 건) 불법이죠. 불법인데, 어디다 쌓을 데가 없잖아요.]

인근 종묘광장공원은 길거리 바둑 명소로 꼽힙니다.

[A씨/76세 : 엄청 춥죠. 그런데도 좋다고요 여기가. 기원은 5000원씩 가잖아요. 부담되잖아요.]

그런데 광장 곳곳에 불법 상행위를 금지한다는 큰 현수막이 붙어있습니다.

원래 이곳에는 1000원을 내면 하루 종일 바둑판을 대여해주는 업자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인근 기원들로부터 민원이 제기되자 구청이 단속 현수막을 붙인 것입니다.

무게가 꽤 나가는 바둑판입니다.

노인들 사이에서 바둑 명당으로 통하는 이곳에서 원래는 바둑판을 빌리는 것이 가능했지만 민원이 들어간 뒤로부터는 집에서부터 직접 챙겨오게 됐습니다.

구청도 현수막은 붙였지만 실제 단속은 쉽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종로구청 관계자 : 어떻게 할 것인지 논의를 하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요즘 어르신들이 갈 곳이 없잖아요.]

실제 바둑과 장기를 두는 사람보다 이를 지켜보는 노인들이 더 많습니다.

공원에서 만난 노인들 대부분은 하루를 보낼 곳이 마땅치 않다고 토로합니다.

[강수성 씨/72세 : (공원에서) 그냥 한 다섯 여섯 시간. 새벽같이 나와서 늦게 늦게 조용히 들어가서 자고 그래요.]

공항이나 지하철역 종점에서 하루를 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노인네들 차비 공짜니까 시간 보내려고 제일로 돈도 없는 영감들만 오는 데가 여기야, 영세민들.]

서울시복지재단에 따르면 서울내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등 노인여가복지시설은 3500여 개.

하지만 10명 중 1명꼴로 해당 시설을 찾는 등 대부분 노인들은 기피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로당은 너무 폐쇄적이라서.]

[그전에는 무료 급식을 했거든요. 근데 요즘은 1000원씩 받아.]

노인들이 자발적으로 찾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공원도 있습니다.

비닐천막 안에는 장기 두는 노인이 가득합니다.

[강모 씨/83세 : 여기만 오면 걱정할 게 없어. 난 뭐 갈 데가 없거든 대우 못 받으니까. 좋잖아.]

이 곳은 한 장기동호회원이 공원 측에 3년가량 민원을 넣은 끝에 만들어졌습니다.

[오만성/장기방 관리자 : 배드민턴 같은 데는 올라가는 길도 만들어주고 시설도 잘해주고. 왜 노인들 편안히 쉴 수 있는 장소는 이렇게 하나 만드는 데 어렵나.]

노인인구 700만 시대.

날은 추워지고 있지만 주머니 사정이 녹록지 않은 노인들은 거리에서라도 쉴 곳을 찾고 있습니다.

단속만 할 것이 아니라 이들이 마음 놓고 갈 곳을 만드는 것이 먼저 아닐까요.

(인턴기자 : 우수민)

윤재영, 공영수, 최다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