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소득주도성장에도 소득 격차 ‘역대 최대’(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올해 3분기 가계소득 동향조사

소득 격차 5.52배..3분기 기준 최고치

고소득 소득 느는데 하위 40%는 감소

이데일리

올해 3분기 월평균 가계소득. 소득 하위 20%(1분위)의 월평균 소득이 131만7600원에 그쳤다. 소득 상위 20%(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973만5700원에 달했다.[출처=통계청]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 간 소득 격차가 역대 최대로 커졌다. 고용 부진이 계속되면서 저소득 가구의 가계 소득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최저임금 인상 등 문재인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도 소득 양극화가 심해지는 양상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년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소득격차 수준을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5.52배를 기록했다. 이는 가계동향조사를 실시한 2003년 이후 3분기 기준 최대치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5.52배)과 동일한 수준이다. 균등화 배율은 상위 20%(5분위) 소득을 하위 20%(1분위)로 나눈 것이다. 수치가 커질수록 소득 격차가 심해졌다는 뜻이다.

가구당 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층 소득은 줄어드는데 고소득층 소득은 늘었다.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하 명목소득)은 131만7600원으로 7%(이하 작년 3분기 대비) 감소했다. 2분위(하위 20~40%) 가구 소득은 284만2800원으로 0.5% 줄었다. 특히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22.6%나 줄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73만5700원으로 8.8% 늘었다. 5분위 가구는 근로소득(11.3%), 이전소득(19.7%), 사업소득(1.5%) 모두 골고루 늘어났다. 4분위(상위 20~40%) 가구 소득도 569만1100원으로 5.8% 증가했다. 3분위(하위 40~60%) 가구 소득도 414만7500원으로 2.1% 올랐다. 3~5분위 가구 소득이 늘면서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74만7900원으로 4.6% 늘었다.

박상영 복지통계과장은 “고용시장·내수 부진 등 최근 경기 상황을 반영해 저소득 가구의 상황이 많이 안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9월부터 실시된 기초연금 인상, 아동수당 도입의 효과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소득 5분위별 가구당 3분기 월평균 소득 현황. 소득 하위 40%인 1, 2분위 소득이 작년 3분기보다 감소했다. [출처=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1분위(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이 22.6% 줄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전년 3분기 대비 증감률, 단위=%. [출처=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