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아베, 강제징용 "한반도 출신 노동자문제" 발언에 외교부 "추후 종합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제강점기 강제노동 문제를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표현한 것 관련,외교부가 입장 표명을 삼갔다.

김득환 외교부 부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10월 30일에) 정부 입장 발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들과 함께 제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정부의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김 부대변인은 이어 “거기에 모든 것을 포함해서 발표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일본 언론을 통해 나오는 것을 보고 있고, 하나하나 대응하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기구가 구성돼서 거기서 한·일관계의 미래까지 포함헤 어떻게 할 것인지 검토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가 한국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과 관련, 이날 일본 정부가 기존에 사용하던 용어인 ‘징용공’이 아닌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는 표현을 쓰며 이와 관련해 모든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이날 NHK로 생중계된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구(舊) 조선반도(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는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말했다.

기존에 일본 정부가 사용하던 ‘징용공’이라는 표현은 일제강점기 당시 국가총동원법 국민징용령에 따른 것이라는 의미로 강제성을 부인하고 합법성을 내포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용어변경은 이에 더 나아가 ‘징용’에 담긴 부정적 뉘앙스를 배제하고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한 합법성을 한층 더 강조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사진=AFP·연합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