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감현장] 복지위 국감장에 선 이국종 "사람이 먼저인 사회 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응급헬기가 인계점(환자를 태우거나 내리게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이·착륙을 허가받은 지점)에만 착륙할 수 있다는 법은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 사람이 먼저인 사회가 구축돼야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24일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국종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장(외상외과 교수)은 우리나라 응급헬기 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영국에서 응급헬기로 환자를 이송하는 동영상을 모여주며 "헬기가 민원을 신경 쓰지 않고 주택가 한복판에 바로 랜딩하며 무전도 한다. 그런데 저희는 현장에서 무전도 안 돼서 LTE가 터지는 낮은 고도로 비행할 때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는 상황이다"고 하소연했다.

이 교수는 지난달 10일 허벅지에 중증외상을 입은 해경 승무원이 병원 이송을 위해 헬기 지원을 요청했지만 허가받은 인계 장소가 아니라는 점 등을 이유로 지원받지 못하고 육상으로 이송하다 숨진 사고와 관련해 현장의 실태를 증언하기 위해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의 요청으로 국감장에 섰다.

복지위 국감장에 선 이국종 "사람이 먼저인 사회 돼야" / 연합뉴스 (Yonhapnews)


그는 "영국의 경우 럭비 경기중에도 경기를 끊고 응급헬기가 환자를 구조하는데 저희 같은 경우는 관공서 잔디밭에 내려앉아도 안 좋은 소리를 한다"라거나 "소음 때문에 헬기장을 폐쇄하거나 방음벽을 설치하라는 민원이 들어오는데 이런 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교수는 "어려움을 호소하면 기관장이나 장관 등은 금방 지원해주겠다고 하지만 중간선에서 다 막혀버린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 "대한민국 모든 병원이 겉모습은 화려하지만 바로 옆 일본과만 비교해도 간호사 인력이 저희가 3분의 1이다. 의사는 말조차 않겠다"며 인력난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주 52시간이 실행됐는데 그러려면 의료현장에 많은 인력증원이 있어야 한다"며 "인력증원 없이 (근무) 시간을 줄이면 문 닫으라는 것밖에 안 된다. 이런 식이면 한국사회에서 더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라고도 말했다.

그는 자신이 민간기업 광고에 출연한 이유에 대해서도 "광고를 찍어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무전기를 지원해 준 것이 고마워 찍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닥터헬기 실태 질의에 답하는 이국종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이국종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소장이 24일 오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 닥터헬기 운영 실태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18.10.24 toadboy@yna.co.kr (끝)



esh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