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감현장] 환노위 국감서도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 나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이자 "산업인력공단에서도 직원 가족·친인척 뽑아"

한정애 "前정부 장관 사위 채용과정 의혹"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24일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최근 논란이 된 임직원들의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여야 의원들은 전·현 정부 시절 채용비리 의혹을 제기하며 설전을 이어갔다.

자유한국당 임이자 의원은 "한국기술자격검정원이 산업인력공단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재고용된 검정원 직원 68명 중 6명의 자녀 또는 친·인척이 공단에 신규 채용됐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특히 이 중 일부는 공고 절차도 없이 채용된 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지적하면서 "고용노동부가 실태 파악을 해서 문제가 된 사람들을 채용에서 배제하라고 했는데 3개월이 지난 시점에도 왜 그냥 두고 있나.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이 이러한 채용비리를 알고 있었음에도 직무유기를 한 게 아닌가"라고 추궁했다.

이에 김동만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경찰이 수사 중인데, 결과가 나오면 문제 있는 사람은 조치하겠다"면서 "저도 고용세습, 취업비리를 반드시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다. 어쨌든 이런 문제를 포함해 죄송하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답변하는 김동만 이사장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한국산업인력공단 김동만 이사장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학교법인 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8.10.24 jjaeck9@yna.co.kr (끝)



같은 당 강효상 의원도 "나라에 실업자가 속출하는데 공공분야는 흥청망청 일자리 파티를 벌이고 있다"며 "권력형 채용비리와 고용세습, 불공정한 정규직 전환, 가짜일자리 양산 같은 불법 일자리 파티가 공공분야에서 난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장우 의원 역시 "고용부 산하기관에서 고용세습처럼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져서 젊은이들에게 절망을 주고, 국가 전체 고용시장을 흔들어대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거들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은 박근혜정부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이기권 전 장관의 사위가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기술교육대학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 관련 경력도 없이 지난 2015년 경력직으로 채용된 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해당 업무에 대해 경력이 있는 사람이어야 했는데 당시 이 전 장관 사위의 인사기록카드를 보면 관련 경력이 전무했고, 학부 전공도 (업무와 무관한) 컴퓨터공학과였다"며 "그런데도 그냥 면접을 봐서 합격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가원에 채용 관련 서류를 제출해달라고 했는데 다른 건 다 있는데 심사위원 평가 내용만 없다고 했다. 어떻게 이럴 수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김기영 한국기술교육대학 총장은 "저도 직접 면접한 게 아니므로 상세한 건 말할 수 없지만, 보고에 따르면 그때 서류가 검찰에서 수사하면서 분실됐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날 근로복지공단에 대한 국감에서는 공단 내부자와 산업재해 보상 브로커 간의 유착 관계가 근절되지 않는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한정애 의원은 "공단 직원이 브로커에게 문자메시지로 장애 판정 진행 사항을 알려주거나 중요 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있다"며 기관의 도덕성 해이를 질타했다.

심정우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이와 관련한 답변 과정에서 "옛날보다 나아졌다"는 취지로 발언해 김학용 환경노동위원장의 질책을 받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아픈 환자 정보를 갖다가 팔아먹는 인간들이 인간인가. 멍멍이보다 못하다"라면서 "후진적 범죄행위는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질의하는 한정애 의원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학교법인 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18.10.24 jjaeck9@yna.co.kr (끝)



yjkim84@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